Earticle

Home

반려동물용 화장품 기술 및 산업 동향 분석
Analysis of Cosmetic Technology and Industry Trends Companion Animal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산업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1권 제2호 (2023.02)바로가기
  • 페이지
    pp.133-138
  • 저자
    박형범, 박정연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5335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Due to social phenomena such as rapid aging in Korea, nuclear familyization, single marriage, and low birth rate,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Companion animals are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fact, one out of every four households has a pet, and the scale of the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6 trillion won in 2027.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he Companion animal cosmetics market is in the spotlight amid the diversification of the pet industry, there is a great lack of research on related research and industry development method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and analyze academic data, patented technologies, and the latest data related to pet cosmetics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the Companion animal cosmetics indust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ademic data include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materials to improve the skin condition of dogs, analysis of the pet cosmetics industry, and research on ICT-converged pet cosmetics, and the industry was mainly cleaning cosmetics, with pet shampoo launches in Amorepacific, LG Household & Healthcare, and Aekyung. In the patented technology for pets, a patent has been registered for natural product material composition and formulation ratio for skin moisturizing, skin improvement, thinning, and inflammation symptom relief. As a result of this award,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onsumption demand of the pet cosmetics market, and it is believed that industry analysis and development research in related field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한국어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와 핵가족화, 미혼, 저출산 등의 사회적 현상으로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반려동물 수와 보 유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 4가구 중 1가구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으며, 해당 산업의 규모는 2027년 6조원에 달할 것으 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 산업의 다양화 속에서 반려동물용 화장품 시장이 각광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 를 고찰하고 산업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동물용 화장품과 관련한 학술자료, 특허기술, 최신자료를 검색 분석하여 펫화장품 산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술 자 료는 반려견 피부상태 개선을 위한 천연소재 효과성 검증과 반려동물용 화장품 산업 분석, ICT 융합 반려동물용 화장품에 관 한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해당 산업은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에서 반려동물용 샴푸 출시가 이루어져 대부분 세정용 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반려동물용 특허기술에는 피부보습, 피부개선, 가렴움, 염증 증상 완화를 위한 천연물 소재 조 성물과 배합비에 대한 특허등록이 이루어졌다. 이 상의 결과 반려동물용 화장품 시장의 소비 수요에 비해 연구와 개발이 아직 까지는 미흡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관련 분야의 산업 분석 및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ㅤ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범위
3. 관련 연구 분석
4. 관련 산업 및 기술 분석
4.1 반려동물용 화장품 국내 산업 현황 분석
4.2 반려동물용 화장품 기술 특허 현황 분석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박형범 [ Hyungbum Park |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창업학과 박사과정, 주식회사 천연스토리 대표이사 ]
  • 박정연 [ Jeongyeon Park |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 교수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산업경영학회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 설립연도
    2003
  • 분야
    복합학>과학기술학
  • 소개
    본 학회는 산업체·학계·연구소 등의 회원 상호간에 정보교환 및 지원을 통하여 산업경영에 관한 학문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에 관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그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간기
    월간
  • pISSN
    2635-8875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3 DDC 33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제21권 제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