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구강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흡연여부 연계성 조사
Convergence study of Effects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Smoking Statu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산업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1권 제2호 (2023.02)바로가기
  • 페이지
    pp.73-77
  • 저자
    김일신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532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학술발표대회집, 워크숍 자료집 중 4페이지 이내 논문은 '요약'만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니, 구매 전에 간행물명, 페이지 수 확인 부탁 드립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hanges in the or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oking in adults in their 20s and 40s. It was conducted to use as basic data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moking and the importance of concurrent education on smoking cessation during oral health education for adults.In subjective oral condition analysis, 65.4% of non-smokers and 59.0% of smokers thought that it was very good or good. Also, in both the non-smokers and smokers groups, the most common answer was that they thought the cleanliness of non-smokers would be high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d ever received anti-smoking education, 63.9% of non-smokers and 76.1% of smokers answered ‘yes’. In the education that 'the oral environment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smoking', the non-smoker group showed 'no' and the smoker group showed 'yes' respectively. As a result, oral health education related to smoking and prevention It is thought that specific and active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accompanied for this.
한국어
본 논문연구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흡연 유.무에 따른 구강환경 변화에 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성인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시 치주질환과 흡연과의 연관성 및 금연에 관한 교육 병행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 다. 2022년 8월과 9월에 걸쳐 편의표본 추출된 대상 5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인 구강상태 분석에서 비흡연자 가운데 매우 좋거나 좋다고 생각한 비율은 65.4%, 흡 연자 그룹은 59.0%를 보였다. 또한, 비흡연자와 흡연자 그룹 모두에서 비흡연자의 청결도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답변 이 가장 많았다. 금연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비흡연자 그룹의 63.9%, 흡연자 그룹의 76.1%가 ‘있다’라고 답하 였다. ‘흡연 유무에 따라 구강환경에 변화를 보인다.’는 교육은 비흡연자군에서는 ‘없다’가, 흡연자군에서는 ‘있다’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구강보건교육시 흡연과의 연관성 및 예방을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교육방법이 수반되어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흡연에 대한 경험도
3.3 주관적인 구강상태
3.4 구강건강관리 인식 및 교육 이수 정도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일신 [ Il-Shin Kim |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교수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산업경영학회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 설립연도
    2003
  • 분야
    복합학>과학기술학
  • 소개
    본 학회는 산업체·학계·연구소 등의 회원 상호간에 정보교환 및 지원을 통하여 산업경영에 관한 학문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에 관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그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간기
    월간
  • pISSN
    2635-8875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3 DDC 33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제21권 제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