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대학생의 우울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산업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1권 제10호 (2023.10)바로가기
  • 페이지
    pp.131-139
  • 저자
    권명진, 최현숙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6855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university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and 18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D City and C province in Korea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In this study, dep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firm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on the mechanisms of action between dep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 that elements of dep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should be included in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자료수집은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D시와 C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184명이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우울, 거부민감성은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거부민감성은 우울과 대 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우울, 거부민감성, 대인관계능력 간의 작용 기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우울과 거부민감성의 요소를 포함시 켜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이고 개별화된 중재 프로그 램 개발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분석방법
2.6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
3.3 우울, 대인관계능력과 거부민감성 간의 상관관계
3.4 우울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 미치는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권명진 [ Myoungjin Kwon |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 최현숙 [ Hyunsuk Choi |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산업경영학회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 설립연도
    2003
  • 분야
    복합학>과학기술학
  • 소개
    본 학회는 산업체·학계·연구소 등의 회원 상호간에 정보교환 및 지원을 통하여 산업경영에 관한 학문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에 관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그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간기
    월간
  • pISSN
    2635-8875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3 DDC 33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제21권 제10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