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교통복지시설이 교통약자에 미치는 영향 : 대중교통특성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f Influences Transportation Welfare Facilities on the Mobility Handicapped : Focusing on the Factors of Characteristics Public Transit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산업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0권 제11호 (2022.11)바로가기
  • 페이지
    pp.85-93
  • 저자
    오은열, 신준옥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042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of the end of 2019, the total population nationwide was 51,849,861, and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population per household has decreased by 1.52% annually from 2.45 in 2015 to 2.31 in 2019.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population distribution by age group, Busan metropolitan city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at 18.2%, and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had the lowest at 9.4%. In particular, as of 2019, the population of the mobility handicapped was 15,219,000 nationwide, showing a ratio of about 29.4% of the total popul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right to move according to the mobile facilities so that the mobility handicapped can move safely and convenientl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places value on transportation welfare facilities centered on the mobility handicapped for safe and convenient movement, and in particular, in proposing measures to cope with the entry of an aging society and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mobility handicapped, the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welfare facilities on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suggest implications.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presented through major preceding studies and expert surveys.
한국어
2019년 말 기준 전국의 총 인구는 51,849,861명 이며, 최근 5년간 세대 당 인구는 2015년 2.45명/세대에서 2019 년 2.31명/세대로 연평균 1.52%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연령대별 인구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65세 이상의 고령자 비 율이 부산광역시가 18.2%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특별자치시가 9.4%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9년 기준 교통 약자에 대한 인구는 전국 15,219천 명으로 전국 인구대비 약 29.4%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가 안전하고 편 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편의시설에 따른 이동권 확보가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안전하고 편리한 이 동을 위한 교통약자중심의 교통복지시설에 가치를 두고, 특히 고령화 사회의 진입과 교통약자의 지속적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대중교통시설인 교통복지시설이 교통약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 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주요선행연구와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 분석방법 결과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주요선행연구 및 교통약자관련 현황 및 분석
2.1 주요선행연구
2.2 교통약자·이동편의시설 현황 및 분석
3. 연구모형 정립과 실증분석
3.1 연구모형의 정립
3.2 조사대상자 일반적 특성분석 및 주요변수 구성개념과 측정항목
3.3 실증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저자

  • 오은열 [ Eun-Yeol Oh | 성결대학교 도시디자인정보공학과 조교수 ] Corresponding Author
  • 신준옥 [ Jun-Ok Shin |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산업경영학회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 설립연도
    2003
  • 분야
    복합학>과학기술학
  • 소개
    본 학회는 산업체·학계·연구소 등의 회원 상호간에 정보교환 및 지원을 통하여 산업경영에 관한 학문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에 관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그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간기
    월간
  • pISSN
    2635-8875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3 DDC 33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제20권 제11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