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학교장의 주관적 안녕 군집에 따른 희망과 그릿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Grit by Group Type of Principal's Subjective Well-being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산업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19권 제2호 (2021.04)바로가기
  • 페이지
    pp.49-55
  • 저자
    김진철, 장봉석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376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hope and grit by cluster of subjective well-being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Researchers analyze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8 principals. We adopted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and one-way variation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hope and grit. Second, the cluster of subjective well-being appeared in four clusters, and most of samples were belonged to the cluster of efficacy well-being. Third, the sub-variables of hope and grit were differed by subjective well-being cluster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personal differences regarding subjective well-being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incipal training program. Researchers proposed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hope and grit and the review of the consistency of amusement scale for the further stud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주관적 안녕 군집에 따른 희망과 그릿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육부 진로교육 역량강화 연수과정에 참여한 중등학교 교장 318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상관분석, 군집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 원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안녕, 희망, 그릿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주관 적 안녕은 4개 군집으로 구분되었고, 효능 안녕이 높은 집단의 빈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안녕 군집별 희망과 그릿의 하위변인에 다양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장 연수 시 주관적 안녕과 관련한 개인차를 반영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써 주관적 안녕, 희망, 그릿의 관계구조를 밝히는 연구와 그릿의 하위변 인 중 흥미의 일관성 척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주관적 안녕
2.2 희망
2.3 그릿
2.4 주관적 안녕, 희망, 그릿과의 관계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2 주관적 안녕의 군집 분류
4.3 중등 학교장의 주관적 안녕 군집유형별 희망과 그릿의 차이
5. 논의
5.1 학교장의 주관적 안녕, 희망. 그릿 간의 관계
5.2 학교장의 주관적 안녕 군집분류 및 희망과 그릿관계
6.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진철 [ Jin-Cheol Kim | 교육부 운영지원과 교육연구관 ]
  • 장봉석 [ Bong-Seok Jang | 국립목포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산업경영학회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 설립연도
    2003
  • 분야
    복합학>과학기술학
  • 소개
    본 학회는 산업체·학계·연구소 등의 회원 상호간에 정보교환 및 지원을 통하여 산업경영에 관한 학문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에 관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그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간기
    월간
  • pISSN
    2635-8875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3 DDC 33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제19권 제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