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Living Lab

시민참여형 스마트시티 리빙랩 활성화 방안 연구

  • 박준호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환경도시공학과) ;
  • 박정우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도시공학부) ;
  • 남광우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도시공학부)
  • Received : 2019.09.09
  • Accepted : 2019.09.23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Smart City is the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that actively utiliz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diversify city services and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henc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creating new trends of urban activities. Recently, the importance of citizen participa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to build smart cities successfully and the Living Lab, an open innovation platform led by users, is taking center stage as a means of realizing i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lans for popularizing living labs that provide innovative environments for domestic smart cities. To this end, first of all, political trends related to domestic smart cities' living labs were analyzed, and t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relevant cas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experts of specialized agencies from Netherlands, Finland, and Denmark, etc. which are considered as leading countries in smart cities' living labs. As a result, in order to popularize living labs in domestic smart cities, the following policies were proposed;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for commercialization and dissemination, building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mprove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establishing the joint response systems with neighboring areas, etc.

스마트시티는 도시서비스를 다양화하고 그 성능과 품질을 향상하는데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삶의 질 향상 및 도시 활동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지역혁신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어 그 실현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주도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인 리빙랩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국내 스마트시티의 혁신 환경을 제공하는 리빙랩의 확산 방안 마련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과 관련된 정책적 동향을 분석하고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례들의 개별적 특징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선도국가로 평가받는 네덜란드, 핀란드, 덴마크 등의 전문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업화 및 확산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 중간지원조직체계 조성, 법·제도 개선, 인접지역과의 공동대응체계를 마련하는 것 등의 정책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훈.김보은, 2012,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연구, 한국행정논집, 24(2), pp.323-342.
  2. 김종수, 2010, 도시 및 지역개발에서의 주민참여확대방안, 한국정책연구, 10(2), pp.51-67.
  3.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계획 표준품셈, 2019.
  4. 손형섭, 2017, 스마트 주차장 확산을 위한 주차장 조례 연구, 공법학연구, 18(3), pp.375-400.
  5. 성지은.이유나, 2018,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례 분석과 과제, 동향과 이슈, 47, pp.1-37.
  6. 성지은.한규영.박인용, 2016, 국내 리빙랩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184, pp.1-44.
  7. 양전성, 2017, 스마트 city 확산을 위한 플랫폼간 연계성 확보방안,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세미나, 2017(6), pp.11-25.
  8. 유수철, 2010, 도시 재개발사업에서의 주민참여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81.
  9. 이승종, 2011, 시민참여론, 박영사
  10. 유지송.박수정.이미숙.신동빈, 2016, 스마트시티 확산을 위한 체험형 테스트베드 구축 전략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2016(10), pp.170-172.
  11. 임화영, 2019, 시민참여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리빙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98.
  12. 임호, 2016, 사회혁신 도구, 리빙랩 이용 활성화 방안, BDI 정책포커스, 315, pp.1-12.
  13. 탁성숙, 2019, 한국 지방정부의 스마트시티 정책확산에 관한 연구: 스마트시티 서비스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6), pp.2244-2254.
  14. Cui, Y., 2017, Development and Practice of smart City in China.
  15. Cogan, C., Sharpe, G., 1986, Planning Analysis: The Theory of Citizen Involvement, The Theory of Citizen Participation, University of Oregon, pp.284-298.
  16. Leminen, S., Westerlund, M., Nystrom, A.G., 2012, Living Labs as Open-Innovation Network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2(9), pp.6-11. https://doi.org/10.22215/timreview602
  17. Morrow, William L., 1975, Public Administration: Politics and Political System, Random House, New York, p.191.
  18. Wang, L., Guo, B., Yang, Q., 2018, Smart City Development With Urban Transfer Learning, Computer, 51.12(2019), pp.32-41. https://doi.org/10.1109/mc.2018.2880015
  19. Sotiris Zygiaris, 2012, Smart city reference model: Assisting planners to conceptualize the building of smart city innovation ecosystems, Journal of the Knowledge Economy, 4.2(2012), pp.217-231. https://doi.org/10.1007/s13132-012-0089-4
  20. Zvolska, L., Lehner, M., Voytenko, Y, P., Mont, O., Plepys, A., 2019, Urban sharing in smart cities: the cases of Berlin and London, Local Environment, 24.7(2019), pp.628-645. https://doi.org/10.1080/13549839.2018.1463978

Cited by

  1.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공간복지 리빙랩으로써 SH청년건축가 프로젝트의 가치 vol.37, pp.3, 2021, https://doi.org/10.5659/jaik.2021.37.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