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재학 중인 대학생 242명이다. 측정도구는 정서적 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서적 지지가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다중회귀 분석과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없었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지지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는 감정적 차원에서의 정서적 지지와 함께 긍정심리요인인 자기효능감의 향상 노력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촉진하고 목표 중심적으로 행동하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과 과목이나 관련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on the career preparation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ample of this study is 242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t was hypothesized that self-efficacy will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stress was established. To confirm th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duction of career preparation stress. Fourth,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stress. These findings imply that efforts to improve self-efficac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career preparation stress of college students, along with emotional support at the emotional level. This suggests that universities need to further expand the necessity of curriculum or related programs to promote a positive self-image for students and promote a sense of self-efficacy that is goal-ori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