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아침식사의 질 평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9) 분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별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2-18세 청소년 3,779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아침식사 유형은 섭취한 주요음식을 기준으로 밥식, 빵식, 면식, 시리얼식, 기타식으로 분류하였다. 아침식사 유형별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1일 섭취기준에 대한 영양소 섭취비율이 분석되었다. 또한 아침식사를 통한 1일 영양소 섭취량 기여율과 영양밀도가 계산되었다. 결과 청소년이 섭취한 아침 식사 유형은 밥식의 섭취비율이 약 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빵식, 시리얼식, 면식 순이었다. 아침결식률은 청소년 여자가 43.03%로 청소년 남자 35.57%에 비하여 높았다. 1일 에너지 섭취량과 단백질 섭취량은 밥식과 빵식을 통해서 많이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일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량은 시리얼식을 통한 섭취가 가장 많았다. 1일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아침 식사의 기여율은 밥식과 면식이 약 23∼24%이었으며, 빵식이 약 18%, 시리얼식이 약 14%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밥식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아침식사로서 우수한 식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아침결식률이 높아서 규칙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breakfast and compare the nutritional intake by breakfast type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3,779 adolescents aged 12 to 18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onducted from 2016 to 2019. Breakfast was classified as ‘rice’, ‘bread’, ‘noodles’, ‘cereal’, and ‘others’ based on the main food consumed.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y breakfast type were ana-lyzed, and nutrient intake and nutrient intake ratio relative to daily nutrient intake standar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dditionally, the study derived the contribution rate and nutrient density of daily nutrient intake from breakfast. Results Regarding the type of breakfast consumed by adolescents, rice ranked first at about 45%, followed by bread, cereal, and noodles. The breakfast skipping rate was higher among female adolescents at 43.03% com-pared to males at 35.57%. Rice and bread tended to account for most of the energy and protein intake, and cereals accounted for the highest daily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The contribution rate of breakfast to daily energy intake was about 23-24% for rice and noodles, about 18% for bread, and about 14% for cerea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ice is an excellent breakfast diet for Korean adolescents. However, the high rate of breakfast skipping among adolescents suggests the need for efficient and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about regular breakfas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