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 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긍정훈육법를 활용한 초등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대표적인 ISD모형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요구분석을 통해 설계전략을 도출하고, 설계 전략에 기반한 프로그램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초안에 대해 전문가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형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점을 도출한 후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함으로써 프로그램 최종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프로그램 최종본은 프로그램 타당도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분석, 사례분석 및 요구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설계 전략에 기반하여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초안을 구안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초안에 대해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최종본을 도출하였다. 넷째, 타당성 검사도구로 프로그램을 검증한 결과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 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설명력, 유용력, 타당성, 이해도, 보편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현장의 교사들이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프로그램은 고학년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어 좀 더 쉬운 발문과 활동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저학년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using positive classroom discipline.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to conduct this study was the ADDIE model, a representative ISD model. A design strategy was derived through requirements analysis such as literature analysis,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and a draft of the program based on the design strategy was developed. An expert form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FGI.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formative evaluation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produce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was verified for validity in five categor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rogram design strategy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case analysis, and needs analysis. Second, based on the program design strategy, a draf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PDC was designed. Third,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was derived through expert for-mative evaluation of the draft program.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rogram with a feasibility test tool, it was overall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PDC had explanatory power, usefulness, validity, understanding, and universality.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using PDC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 useful program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b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However, since this program consists of content suitable for use in upper grad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ith easier questions and activ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