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세종학당 한국어 읽기와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세종학당의 중급상과 초급상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와 쓰기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세종학당의 기능 분리형 읽기와 쓰기 교재의 개발 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세종학당의 교육과정과 운영 현황을 살펴보며,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읽기와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분석과 설문을 통한 양적분석, 그리고 인터뷰를 통한 질적분석 방법이 활용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교재 개발을 위한 기본 방향을 도출하고, 샘플 단원을 제작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결론 세종학당의 교육과정과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자료, 요구분석의 결과와 타당도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세종학당 한국어 읽기와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본 방향이 제시되었다.

Objectives This is a basic study to develop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at King Sejong Institutes, and aims to derive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function-separated textbooks.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status of King Sejong Institute, analyzed Korean textbooks, and analyzed the demands for developing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Literature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ghrough surveys, an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interview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basic direction for textbook development was derived, and the validity was reviewed by producing a sample unit. Conclusions The basic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were presented, a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current situation of King Sejong Institute, the data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ults of demand analysis and validity review.

Ⅰ. 서론

Ⅱ. 세종학당 교육 현장 탐색

Ⅲ.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Ⅳ. 타당성 검토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