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350.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on young children s basic physical fitness and self-regulation

  • 101

목적 본 연구는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29명이며 실험집단 유아들은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은 일반적인 신체표현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교육인적자원부(2006)에서 제시한 기초체력 검사와 Kendall과 Wilcox(1979)가 개발한 Self - Control Rating Scale을 유혜정(1998)이 번안하고 이지현(2001)이 수정한 자기조절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기초체력의 하위영역 중 평형성, 유연성, 순발력, 지구력, 민첩성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근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기조절력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교수방법의 하나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on young children s basic physical fitness and self-regulation. Methods Two classes aged 3 years located in Y city were selected and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physical activities, the sixteen times,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For this study, the basic physical fitness test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6) and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developed by Kendall and Wilcox(1979) revised by Yoo Hye-jeong(1998) and modified by Lee Ji-hyun were use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ith SPS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significantly improved in balance, flexibility, power, endurance, agility, and agility among the of basic physical strength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muscle strength. In terms of self-regul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could improve young children s basic physical fitness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it suggested that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can be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o as to enhance young children s basic physical fitness and self-regul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