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516.jpg
KCI등재 학술저널

테크놀로지 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및 경험적 의미 탐색

Exploring the effects and experiential significance of technology-based capstone design class on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TPACK)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194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매체의 개발 경험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캡스톤디자인 수업에서 3D 프린팅과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교수매체를 개발하기 위한 수업이 설계되었으며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적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양적연구에서 테크놀로지 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지식, 유아교육학 지식, 테크놀로지 유아교수내용 지식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는 7개의 하부주제와 4개의 주제가 최종 도출되었다. 예비유아교사는 3D 프린팅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교수매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도전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으나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성장과 성취감을 느끼게 되었고 미래교육을 위해 자신이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 성찰해보는 경험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plored how a technology-based capstone design course affected the advance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based instructional media.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 capstone design course that used 3D printing and augmented reality to develop new instructional media. The course ran from September until December of 2019. There were two main results: first, quantitative analyses suggested that the technology-based capstone design course enhanc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related to technolog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chnolog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we derived four themes and seven sub-themes from the qualitative analyses. Even thoug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ressed anxiety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instructional media using 3D printing and augmented reality, they experienced a sense of growth and accomplishment while carrying out the team project and reflected on how they need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education. These findings impl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ducation curriculums and programs to amplif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