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87.jpg
KCI등재 학술저널

TPACK 발달 단계를 고려한 수업이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발달 수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essons considering the TPACK development stage on the self-efficacy and development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 135

이 연구에서는 2020년 1학기 중소도시 소재 사범대학에서 예비 교사의 TPACK 발달을 위한 수업을 15주 과정으로 설계하고 예비 교사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1주차에는 오리엔테이션 및 사전 설문을 통해 TPACK에 대한 인식 단계, 2차시에는 수용단계, 3-4차시에는 적응 단계를 제시하였으며, 5-10차시에는 조별 수행을 통한 탐색 I과 발전 I 단계를 수행하였다. 11-14차시에는 개인별 수행을 통해 탐색 II와 발전 II 단계를 수행하였다. 15차시에는 종합적 반성을 통해 발전 III 단계를 진행하였으며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은 통계적 유의미하게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PCK, TCK, TPK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를 선택한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서술한 이유 중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진술 문장을 추출하였고 이를 범주화하여 예비 교사의 TPACK 발달 단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PCK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예비교사들의 경우에는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하여 적극적이지 않으며 수업 준비에 대하여 부담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요소(TCK, TPK)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예비 교사들의 경우에는 PCK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예비 교사보다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실제적으로 적용하려는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 교사들이 PCK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테크놀로지 요소(TCK, TPK)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TPACK 발달 단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대한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15-week course was designed for pre-service teachers TPACK development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was investigated. In the 1st week, through orientation and pre-questionnaire, the recognizing stage of TPACK, the accepting stage in the 2nd week, and the adapting stage in the 3rd-4th weeks were presented. In the 5th-10th weeks, exploring I and advancing I stage through group performance were performed. In the 11th-14th weeks, exploring II and advancing II were performed through individual performance. In the 15th week, the advancing III stage was conducted through comprehensive reflection and a post-questionnaire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statistically. Besides, in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selected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PCK, TCK, and TPK for their technology-integrated lessons and explained the reason. We also classified and analyzed the stages of TPACK development by analyzing statements about technology among the reasons explained by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who think PCK is the most important, are not actively using technology and are feeling burdened with class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who think technological factors(TCK, TPK) is the most important in technology use classes are more interested in applying technology to their classes than pre-service teachers who think PCK is the most important. This result shows that the TPACK development stage is higher when pre-service teachers think technological factors(TCK, TPK) is essential than when PCK is essentia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using technolog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