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UbD(Understanding by Design) 설계론에 기반한 교과 단원 설계 실습모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Model for the Unit of Subject

  • 142

대학 교직과목 중 교육과정 강좌는 교육학 분과 중 교육의 실제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이다. 예비 교사인 교직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교육과정 강좌를 통해 전공 교과의 실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가져야 한다. 이 연구는 UbD(Understanding by Design) 설계론을 기반으로 하여 교직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실제 교과 단원을 설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실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방법은 교육과정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1차로 전문가 협의를 통해 1차 수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2차로 2018학년도 1학기부터 2019학년도 1학기까지 총 3학기 동안 33명의 교직수업 수강생들에게 1차 수정 모형을 적용하여 단원 설계 실습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소감문과 실습지 오류 분석을 통해 2차 수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2차 수정 모형은 한국의 교육 실제에 적합한 용어와 개념 설명등 현장 적합성을 중점에 두고 개발되었다.이 연구의 결과가 교육과정 교직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미래의 교사로서 역량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습도구로 쓰이길 바라며, 현장 교사들의 단원 설계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curriculum lecture of the univers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among the sub-sections of education. Students who take the teaching profession class as a preliminary teacher should have the ability to design the actual curriculum of the major subject through the curriculum l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tool for the unit of the subject based on the UbD(Understanding by Design) design theory. The tool modification of this study was done by expert review and action research. In this study, the first revis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In addition, the unit design practice was applied to 33 teaching students during the total of three semesters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18 to the first semester of 2019, and the second revis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students impressions and errors in the practice sheet. The second revision model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field suitability, such as terms and concept explanations suitable for Korean education practice.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actical tool to help students who take the curriculum teaching class develop their role as a future teacher and hope that it will help design the unit of the field teach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