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기억항목들 간 유사성이 시각작업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기억 과제로는 변화탐지과제가 사용되었으며, 기억항목을 유사성 수준별로 실험 1에서는 두 개 그리고 실험 2에서는 세 개의 기억 쌍들로 구성해 순차 제시하였다. 기억항목 쌍들의 순차 제시에 뒤이어 기억항목들에 대한 전체 혹은 부분탐사를 실시해 색상이 변화한 항목의 유무를 보고하도록 요구하였다. 각 기억화면 에 제시된 기억항목 쌍 내의 개별 항목들은 서로 다른 범주의 색상 혹은 동일한 색상 범주 내에서 분명히 구분되는 색상을 각각 보유하도록 처치하였다. 전자의 경우 기억항목들 간 색상 유사성이 낮은 경우에 해당되었으며 후자의 경우 높은 경우에 해당되었다. 실험 결과, 기억항목들 간 색상 유사성이 높은 경우에 비해 낮을 경우 변화탐지가 정확한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상대적 정확성은 부분탐사가 실시된 경우 더욱 분명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억항목들 간 유사성이 낮을 경우 시각 작업 기억 수행이 촉진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키워드

기억항목들 간 유사성, 시각작업기억, 변화탐지

참고문헌(4)open

  1. [학술지] 현주석 / 2012 / 기억자극의 과제 무관련 세부특징 정보가 과제 관련 세부특징에 대한 시각단기재인에 미치는 영향 / 인지과학 23 (2) : 225 ~ 248

  2. [학술지] Hollingworth, A. / 2010 / Binding objects to loc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files and visual working memory /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 Performance 36 (3) : 543 ~ 564

  3. [학술지] Nosofsky, R. M. / 1984 / Choice, similarity, and the context theory of classification /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0 (1) : 104 ~ 114

  4. [학술지] Olson, R. K. / 1970 / What variables produce similarity grouping? /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83 (1) : 1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