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형태의 친숙성은 무시된 형태의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가?

Does Familarity Affect the Processing of Nontarget Shap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약어 : 심리인생
2011 vol.23, no.2, pp.257 - 270
DOI : 10.22172/cogbio.2011.23.2.005
발행기관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56 회 열람

Rock과 Gutman(1981)은 표적 형태에 관한 지시 때문에 무시된 비표적 형태가 낯익어도 지각이 되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조현욱과 김정오(2010)는 형태의 구조에 관한 참여자의 의도를 변화시키면 낯선 비표적도 지각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욱과 김정오가 고안한 내적 구조의 약호화 지시를 이용해서 낯익은 비표적이 처리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 1은 단순한 대칭 모양의 하트, 입술 그리고 원을 낯익은 비표적으로 사용하고 그 재인율을 낯설고 대칭적인 비표적의 재인율과 비교하였다. 실험 2는 뒤집은 비표적 형태들을 표적과 함께 제시하고 그 재인율을 검토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낯익은 비표적이 낯선 비표적보다 더 나은 재인을 보이지 않았다. 과거 경험에 의한 친숙성이 표적 때문에 가려진 대칭적 비표적의 지각에 영향을 주지 못한 이유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work examined whether familiar but ignored shapes are perceived. Rock and Gutman(1981) demonstrated these shapes were indeed not perceived in an incidental learning task. Cho and Kim(2010), however, reported that depending upon instructions, unfamiliar shapes were processed in the same task. Using an instruction of internal structure encoding,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a familiar but ignored shape was perceived while a target was attended. Experiment 1 compared recognition rates for the familiar but ignored shapes (heart, lips and a circle) with those of unfamiliar ones. To control familarity due to shape orientations, Experiment 2 presented participants with upside- down shapes. In two experiments, the familiar nontargets did not show higher recognition rates than did the novel nontarget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new evidence for perception of ignored shapes regardless of their familarity.

비표적의 재인, 형태의 친숙성, 내적 구조의 약호화
Nontarget recognition, form familarity, encoding internal structure

  • 1. [학술지] 김지윤 / 2010 / 잔여용량이 비표적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4) : 589 ~ 4 kci
  • 2. [학술지] 김희정 / 2010 / 낯선 형태에 대한 연상이 비표적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2) : 161 ~ 2 kci
  • 3. [학술지] 박창호 / 2010 / 원은 좋은 형태인가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3) : 261 ~ 3 kci
  • 4. [기타] 이주영 / 2008 / Rock과 Gutman (1981)의 현상적 형체설에 대한 반증 실험. 미발표 실습논문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5. [학술지] 조현욱 / 2010 / 표적 형태의 내적/외적 구조의 약호화가 무주의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1) : 59 ~ 1 kci
  • 6. [단행본] Kahneman, D. / 1973 / Attention and effort / Prentice-Hall
  • 7. [학술지] Lachter, J. / 2004 / Forty-five years after Broadbent: Still not identification without attention / Review / 111 : 880 ~
  • 8. [단행본] Rock, I. / 1983 / The logic of perception / MIT Press
  • 9. [단행본] Rock, I. / 1986 /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object and event perception, in Handbook of perception and human performance: Vol. Ⅱ Cognitive processes and performance / Wiley
  • 10. [학술지] Rock, I. / 1981 / The effect of inattention on form perception /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 7 : 275 ~
  • 11. [학술지] Rock, I. / 1963 / An experimental analysis of symmetry / Acta Psychologica / 21 : 1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