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어떤 정서에서 요점흔적에 의한 오기억이 일어나는지를 DRM 과제를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단어를 2초 동안 제시하고, 5분 후 혹은 1일 후 재인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2에서는 단어를 250ms 혹은 2초 동안 제시하고 5분 후 재인검사를 실시하였다. 단어 제시시간이 길었던 실험 1의 즉시 검사에서는 정적 정서-낮은 각성 조건에서 오기억이 적게 보고되었으나, 지연 검사에서는 정적 정서-낮은 각성 조건에서 오기억이 많이 보고되었다. 실험 2에서는 즉시 검사만 실사하였는데, 제시시간이 2초이었던 조건에서는 정적 정서-낮은 각성 조건에서 오기억이 적게 보고되었으나, 제시시간이 250msec이었던 조건에서는 정적 정서 조건에서 오기억이 많이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제시시간이 짧을 경우와 파지간격이 길 경우의 오기억은 요점 흔적에 주로 의존하며 이는 정서가와 관련이 있는 반면, 제시시간이 길 경우와 파지간격이 짧을 경우의 오기억은 유인단어의 일시적 활성화에 의한 오기억일 가능성이 많으며, 이는 각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키워드

오기억, 파지간격, 제시시간, 정서가, 각성수준, 부호화

참고문헌(28)open

  1. [학위논문] 류현주 / 2005 / 작업기억에서 다중정보의 통합과정: 청년과 노년의 비교연구

  2. [학술지] 박미자 / 2004 / 인지부하가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6 (1) : 111 ~ 130

  3. [학술지] 박영신 / 2004 / DRM 패러다임에서 오기억과 실제 기억에 미치는 부적 정서의 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6 (2) : 131 ~ 150

  4. [학술지] 박인조 / 2005 /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과 정서 차원 탐색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19 (1) : 71 ~ 100

  5. [학술지] 이현희 / 2003 /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 (4) : 935 ~ 946

  6. [학술지] 한덕웅 / 2000 / 한국정서 용어들의 적절성과 경험빈도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19 : 63 ~ 99

  7. [학술지] Corson, Y. / 2007 / Emotions and false memories: Valence or arousal? / Psychological Science 18 : 208 ~ 211

  8. [학술지] Dodson, C. S. / 2002 / when false recognition meets metacognition: the distinctiveness heuristic /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6 : 782 ~ 803

  9. [학술지] Forgas, J. P. / 1995 / Emotion in social judgments: Review and a new affect infusion model(AIM) / Psychological Bulletin 117 : 39 ~ 66

  10. [학술지] Forgas, J. P. / 2008 / Affect and cognition /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3 : 94 ~ 101

  11. [학술지] Forgas, J. P. / 1987 / Mood effects on person perception judgment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 53 ~ 60

  12. [학술지] Hunt, R. / 1981 / Relational and item-specific information in memory /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0 : 497 ~ 514

  13. [학술지] Isen, A. M. / 1987 / Positive affect, cognitive processes, and social behavior /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0 : 203 ~ 253

  14. [학술지] Kensinger, E. A. / 2003 / Memory enhancement for emotional words: Are emotional words more vividly remembered than neutral words? / Memory and Cognition 31 : 1169 ~ 1180

  15. [학술지] McDermott, K. B. / 1996 / The persistence of false memories in list recall /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5 : 212 ~ 230

  16. [학술지] McDermott, K. B. / 2001 / The rise and fall of false recall: The impact of presentation duration /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5 : 160 ~ 176

  17. [학술지] Mayer, J. D. / 1995 / Mood inductions for four specific moods: A procedures employing guided imagery vignettes with music /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5 : 261 ~ 285

  18. [학술지] Payne, D. G. / 1996 / Memory illusions: Recalling, recognizing, and recollecting events that never occurred / ournal of Mental Imagery 19 : 133 ~ 150

  19. [학술지] Reyna, V. F. / 1995 / Fuzzy-trace theory: An interim synthesis /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7 : 1 ~ 75

  20. [학술지] Reyna, V. F. / 1997 / Theories of false memory in children and adults /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9 : 95 ~ 123

  21. [단행본] Roediger, H. L. III / 2001 / Spreading activation and arousal of false memories. in: The nature of remembering: Essays in honor of Robert G. Crowder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95 ~ 115

  22. [학술지] Roediger, H. L. / 1995 / Creating false memories: Remembering words not presented in lists /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 Cognition 21 : 803 ~ 814

  23. [학술지] Russell, J. A. / 1989 / Affect grid: a single-item scale of pleasure and arousal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 493 ~ 502

  24. [학술지] Seamon, J. G. / 2003 / "If I didn't write it, why would I remember it?" Effects of encoding, attention, and practice on accurate and false memory / Memory & Cognition 31 : 445 ~ 457

  25. [학술지] Seamon, J. G. / 2002 / Are false memories more difficult to forget than accurate memories? The effect of retention interval on recall and recognition / Memory & Cognition 30 : 1054 ~ 1064

  26. [학술지] Storbeck, J. / 2005 / With sadness comes accuracy: With happiness, false memory: Mood and the false memory effect / Psychological Science 16 : 758 ~ 791

  27. [학술지] Thapar, A. / 2001 / False recall and false recognition induced by presentation of associated words: Effects of retention interval and level of processing / Memory & Cognition 29 : 424 ~ 432

  28. [학술지] Toglia. M. P. / 1999 / recall accuracy and illusory memories: When more is less / Memory 7 : 233 ~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