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글 정보 처리의 연구를 둘러싼 몇 가지 문제의 검토

Critiques of Research in Hangul Information Process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약어 : 심리인생
2010 vol.22, no.1, pp.9 - 19
DOI : 10.22172/cogbio.2010.22.1.002
발행기관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58 회 열람

한글 정보 처리의 연구와 관련된 문제적 상황들을 검토하였다. 우선, 표음주의에 대한 집착과 편향이 한글 정보 처리에 대한 객관적 접근을 방해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한글 전용이 가져온 문제들을 지적하고 한자어에 있어서의 글자-형태소 대응의 불투명성 등의 문제를 인지심리학적으로 검토하는 노력이 부족하였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긴급한 당면 과제 중의 하나로서 남북한 어문 규정의 통일이라는 문제에 주목하고, 독서의 정보처리적 관점에서 통일 방안을 연구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외국어의 표기, 외국어와의 비교 연구 등 국제화 시대에 한글 정보 처리의 연구자들이 주의를 기울여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Several problems in studying Hangul information processing were discussed. First, the ideal of Hangul orthography to perfectly transcribe Korean pronunciation has long been dominating among Korean scholars as well as Korean people, which can bias studies on Hankul information processing. Seco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Hangul-only system which insists on using Hangul only and expelling Chinese characters from Korean texts were discussed. The author pointed out that more efforts to scrutinize the consequences of ambiguous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of Sino-Korean words resulting from the system should have been made. Third, unification of two Hangul orthographies from North and South Korea is an urgent issue, which has to be solved for the year 2013 compilation of Gyeoremal-keunsajeon (Unabridged and Unified Korean Dictionary). The unification issue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sychology of reading, and cognitive psychologis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Finally, other controversial issues such as transliteration of foreign words were also discussed from the standpoint of reading efficiency.

단어인지, 한자어, 남북한어문규정, 한글맞춤법
word recognition, Sino-Korean words, Korean orthography, Hangul

  • 1. [학술대회] 이광오 / 1999 / 한글 단어인지과정에서 형태소 처리과정 /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연차대회논문집 : 35 ~
  • 2. [학술대회] 이광오 / 1999 / 한자 합성어의 표상과 처리 /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인지과학의 현재, 과거, 미래 : 73 ~
  • 3. [학술지] 이광오 / 2003 / 단어인지 수행은 어종에 따라 다를까?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15 (4) : 479 ~ 4 kci
  • 4. [학술대회] 이광오 / 2008 / 본음 복원 두음법칙 단어의 인지 /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 103 ~
  • 5. [학술대회] 이광오 / 2008 / 사이시옷 단어의 인지에서 친숙성의 효과 / 한국실험심리학회 2008년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 61 ~
  • 6. [학술지] 이광오 / 2009 / 한국어 음절의 표기빈도와 형태소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 인지과학 / 20 (3) : 309 ~ 3 kci
  • 7. [학술지] 이광오 / 2009 / 한국어 고유어의 인지에서 형태소 처리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1 (3) : 233 ~ 3 kci
  • 8. [학술대회] 이광오 / 2005 / 한자어의 처리에서 표기 중복의 효과 /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연차대회 논문집 : 165 ~
  • 9. [학술지] 이광오 / 1999 / 한글단어의 인지과정에서 형태소 정보처리 /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 11 : 77 ~
  • 10. [학술지] 이광오 / 2007 / 표기 체계와 시각적 단어 인지:한자어의 인지에서 형태소의 표상과 처리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19 (4) : 313 ~ 4 kci
  • 11. [단행본] Feldman, L. B. / 1992 / Morphological analysis in word recognition. in: Orthography, phonology, morphology, and meaning / Elsevier
  • 12. [학술지] Hirose, H. / 1992 / An investigation of the recognition process for jukugo by use of priming paradigms / The Japanese Journal of Psyhcology / 63 : 303 ~
  • 13. [단행본] Joyce, T. / 2004 / Modeling the Japanese mental lexicon: Morphological,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consideration. in: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Vol. 31 / Nova Science Publishers
  • 14. [학술지] Rastle, K. / 2000 / Morphological and semantic effects in visual word recognition: A time course study /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 15 : 507 ~
  • 15. [단행본] Sampson, G. / 1985 /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 Stanford University Press
  • 16. [단행본] Stolz, J. A. / 1995 / The role of orthographic and semantic transparency of the base morpheme in morphological processing. in: Morphological Aspects of Language Processing / LEA
  • 17. [단행본] Taft, M. / 2003 /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as a correlation between form and meaning. in: Reading complex words: Cross-language studies / Plenum
  • 18. [학술지] Zhou, X. / 1999 / Morphology,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reading Chinese compound words /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 14 : 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