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어 고유어의 인지에서 형태소 처리

Morphological Processing of Native Korean 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약어 : 심리인생
2009 vol.21, no.3, pp.233 - 247
DOI : 10.22172/cogbio.2009.21.3.005
발행기관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44 회 열람

반복 점화 과제를 이용하여 고유어 합성어의 형태소 처리와 표기 처리를 조사하였다. 실험 1은 단일어, 합성어, 무관련의 세 가지의 점화어 유형을 어두 위치에서 조작하고, 세 가지의 자극 개시 간격(SOA)에 따른 표기 처리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점화어와 표적어 간의 표기 중복은 SOA가 짧은 조건에서는 촉진 효과를, 긴 조건에서는 억제 효과를 산출하였다. 실험 2에서는 고유어의 형태소 처리를 다루었다. 형태소 중복, 표기 중복, 무관련의 세 가지의 점화어 유형을 어두와 어말 위치에서 조작하였고, 세 가지의 자극 개시 간격을 사용하여 자극쌍들을 제시하였다. 어두와 어말 위치 모두에서 그리고 세 가지 SOA 조건 모두에서 유의한 형태소 점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표기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1의 표기 촉진 효과와 실험 2의 형태소 촉진 효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관찰된 것으로서, 한자어를 사용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는 한자어의 어휘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모든 어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the repetition priming paradigm the author investigated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processing of native Korean words. In Experiment 1, monomorphemic, bimorphemic, and unrelated primes which shared an initial syllable with a target word were found to bring about facilitation for masked priming condition but inhibition for long SOA condition. In Experiment 2 morphological processing of native Korean words was examined with morphological, orthographic, and unrelated prime-target pairs. The hypothesis that size and direction of morphological priming is dependent on lexical characteristics of stimuli was also tested. Significant morphological priming was found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a morpheme shared by prime and target on the three different SOAs, but orthographic inhibi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n any condition. The study succeeded in discovering orthographic facilitation and morphological facilitation in Korean word recognition for the first time, and this suggests that the failure to find morphological priming in previous studies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s used as their stimuli.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that morphological priming is hard to find because of slow morphological processing and inhibitory orthographic processing resulting from ambiguous Kulja-morpheme correspondence of Sino-Korean words. Differences among word types and their consequences in lexical processing were discussed.

단어인지, 형태소 처리, 고유어, 심성어휘집
word recognition, morphological processing, Native Korean words, mental lexicon

  • 1. [학술대회] 이광오 / 1999a / 한글 단어인지과정에서 형태소 처리과정 /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연차대회논문집 : 35 ~
  • 2. [학술대회] 이광오 / 1999b / 한자 합성어의 표상과 처리 /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인지과학의 현재, 과거, 미래 : 73 ~
  • 3. [학술지] 이광오 / 2003 / 단어인지 수행은 어종에 따라 다를까?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15 (4) : 479 ~ 4 kci
  • 4. [학술지] 이광오 / 2009 / 한국어 음절의 표기빈도와 형태소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 인지과학 / 20 (3) : 309 ~ 3 kci
  • 5. [학술대회] 이광오 / 2005 / 한자어의 처리에서 표기 중복의 효과 / 한국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연차대회 논문집 : 165 ~
  • 6. [학술지] 이광오 / 1999 / 한글단어의 인지과정에서 형태소 정보처리 /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 11 : 77 ~
  • 7. [학술지] 이광오 / 2007 / 표기 체계와 시각적 단어 인지:한자어의 인지에서 형태소의 표상과 처리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19 (4) : 313 ~ 4 kci
  • 8. [기타] Feldman, L. B / 1992 / Morphological analysis in word recognition. In: Orthography, phonology, morphology, and meaning / Elsevier
  • 9. [학술지] Forster, K. I / 2003 / DMDX: A WINDOWS display program with millisecond accuracy. Behavior Research Methods / Instruments, & Computers / 35 : 116 ~
  • 10. [학술지] Hirose,H / 1992 / An investigation of the recognition process for jukugo by use of priming paradigms / The Japanese Journal of Psyhcology / 63 : 303 ~
  • 11. [학술지] Joyce,T / 2004 / Modeling the Japanese mental lexicon: Morphological,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consideration /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 31
  • 12. [학술지] Rastle, K / 2000 / Morphological and semantic effects in visual word recognition: A time course study /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 15 : 507 ~
  • 13. [기타] Stolz, J. A / 1995 / The role of orthographic and semantic transparency of the base morpheme in morphological processing. In:Morphological Aspects of Language Processing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14. [단행본] Taft,M / 2003 /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as a correlation between form and meaning / Plenum
  • 15. [학술지] Zhou, X / 1999 / Morphology,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reading Chinese compound words /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 14 : 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