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206.76
3.128.206.76
close menu
KCI 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또래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amid COVID-19 Pandemic: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Peer Support
김민수 ( Minsoo Kim )
인문사회 21 13권 3호 1901-1912(12pages)
DOI 10.22143/HSS21.13.3.132
UCI I410-ECN-0102-2023-300-000700988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또래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weps)자료 중 ‘16차년도(2021) 아동 부가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고등학생 32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및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 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 또래지지는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 학업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유의미했지만 또래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subjective happiness, self-esteem and peer support,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peer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Data from the 16th year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which covered data from 324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Macro Process 3.5.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subjective happiness, while self-esteem and peer support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self-esteem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but the mediation effect of peer support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subjective happiness among the Adolescents regarding the roles of academic stress, subjective happiness, self-esteem and peer support,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