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82.152
18.117.82.152
close menu
KCI 등재
재미의 개념에 대한 영향 요인 검증연구
Verification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the Concept of Jaemi
박인옥 ( Inok Park ) , 윤천성 ( Chunsung Youn )
인문사회 21 10권 5호 101-115(15pages)
DOI 10.22143/HSS21.10.5.8
UCI I410-ECN-0102-2021-000-000154398

본 연구는 재미의 개념에 대한 영향 요인 검증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금공단, 여성대학수강생, 성인교육기관 학습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미에 대한 개념에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관계적 재미, 정서적 재미, 인지적 재미를 하위요인으로 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를 거쳐 56항을 추출하였다. 분석은 data cording과 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적 재미는 관계적 재미, 정서적 재미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교육직이 사무 관리직이나 기술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지적 재미가 높았다. 그리고 성별, 연령, 결혼 여부, 학력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 재미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논의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factor on the concept of Jaemi.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16 learners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 education institutions. In research, we put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Jaemi. 56 items were extracted from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ith sub-factors as relational Jaemi, emotional Jaemi, and cognitive Jaemi. The analysis is performed through data cor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Jaemi was correlated with relational Jaemi and emotional Jaemi. By occupation, educational jobs were more cognitively Jaemi than office management and technical job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attainment. It is suggested that a variety of follow-up studies will be made in the future by activating new perspectives and discussions about Jaemi.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