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원과 학교에서의 교우기대감

Friendship Expectation Perceived in Gifted and Regular Class by Gifted Students of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과학교육연구지
약어 : Jour. Sci. Edu.
2017 vol.41, no.1, pp.98 - 110
DOI : 10.21796/jse.2017.41.1.98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69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 수업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대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A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121명에게 친밀성, 능력·유사성, 도덕성을 하위 영역으로 하는 교우기대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대감은 친밀성, 도덕성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능력·유사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학급에서는 친밀성에 대한 교우기대감이 높았고, 영재학급에서는 도덕성에 대한 교우기대감이 높았다. 또한, 교우기대감의 각 하위 영역의 일부 세부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교우기대감도 있었다. 그리고 대학부설과학영재교원의 영재학생은 지역교육청부설영재교육원과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영재학생이 보이는 교우기대감과 다른 특징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학생의 교우기대감이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riendship expectation that gifted students perceived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o this study, friendship expectation survey, which sub-domains were intimacy, ability·similarity, and morality, was conducted to 121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s of gifted students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domains of intimacy and mora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ability·similarit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me detail items of all sub-domain(intimacy, ability·similarity, and morality). Based the results of this, the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friendship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uggested.

교우기대감, 영재학생, 영재수업, 일반수업,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friendship expectation, gifted student, gifted class, regular class,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