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 과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초등 과학 영재의 관찰방법과 의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거미와 거미줄’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관찰방법과 의문이 사전지식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였다. 사전지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의 학생들은 사전지식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관찰의 방법과 양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지식이 양이 높은 집단이나 낮은 집단 모두 관찰 방법에서는 오감을 이용한 단순 관찰을 주로 하였다. 이는 사전지식의 양이 관찰의 양에는 영향을 미치나 관찰 방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관찰이 나타났다. 이는 관찰의 수준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사전에 충분한 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들이 관찰을 이용한 수업을 수행할 경우에 사전에 관련된 지식에 대하여 충분한 수업이 이루어져야 보다 효율적인 관찰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키워드

사전지식, 관찰, 의문 유형, 의문수준

참고문헌(30)open

  1. [학술지] 권용주 / 2003 /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 458 ~ 469

  2. [학술지] 권용주 / 2003 /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3) : 215 ~ 228

  3. [학술지] 권용주 / 2003 / 대학생들의 귀납적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적 사고의 유형과 과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3) : 286 ~ 298

  4. [학술지] 권재술 / 1994 /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 (3) : 251 ~ 264

  5. [학술지] 권치순 / 2005 / [특별기고]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방향과 과제 / 초등과학교육 24 (2) : 192 ~ 201

  6. [학술지] 김영신 / 2006 /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와 일반 학생의 관찰 방법과 행동 비교 연구 / 생물교육 34 (4) : 432 ~ 438

  7. [학술지] 김정길 / 1991 / 국민학교 학생들의 관찰능력에 관한 연구(I) / 초등과학교육 10 (1) : 175 ~ 182

  8. [학술지] 박명희 / 2005 /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 초등과학교육 24 (4) : 345 ~ 350

  9. [학술지] 박윤자 / 2001 / 초등학교 학생들의 동백잎에 관한 관찰 능력 / 과학교육연구 논문집 23 (1) : 23 ~ 38

  10. [학술지] 박종원 / 1999 /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찰행동 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3) : 487 ~ 500

  11. [학술지] 배진호 / 2005 / 식물을 활용한 탐구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관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부산교육대학교 30 : 37 ~ 68

  12. [학술지] 송판섭 / 1995 / 촛불실험을 이용한 초등학교 (3-6학년) 아동들의 관찰 능력 분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 (1) : 73 ~ 84

  13. [학술지] 신동훈 / 2007 / 과학 지식 생성 모형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생용 거미 탐구 프로그램 개발 / 초등과학교육 25 (5) : 465 ~ 475

  14. [학술지] 정진수 / 2006 /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1) : 88 ~ 98

  15. [학술지] 권용주 / 2004 /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5) : 1018 ~ 1027

  16. [학술지] 정언효 / 2000 / 수업내용 질문 생성과 사전지식 질문 생성이 정보 이해와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효과 / 교육심리연구 14 (1) : 45 ~ 70

  17. [학술지] 조희형 / 1995 / 고등학교의 과학적 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학습지도 방법과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2) : 133 ~ 148

  18. [학술지] 허인숙 / 2002 / 사회과 교육에서 사전지식을 고려한 학습과 개념도의 활용 / 시민교육연구 34 (2) : 10 ~ 254

  19. [단행본] Chadwick, B. / 1994 / Science in perspective: Book 1. Marrickvill / Science Press

  20. [학술지] Chin, C. / 2002 / Posing problems for open investigation: What questions do ask? / Research in Science & Technilogical Education 20 (2) : 269 ~ 287

  21. [단행본] Collette, A. T. / 1994 /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2. [학술지] Cuccio-Schirripa, S. / 2000 / Enhancement and analysis of science question lev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2) : 210 ~ 224

  23. [학술지] Dillon, J. T. / 1988 / The remedial status of student questioning /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 : 197 ~ 210

  24. [학술지] Gijlers, T. T. / 2005 / The relation between prior knowledge and students' collaborative discovery learning processes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3) : 264 ~ 282

  25. [단행본] Lawson, A. E. / 1995 /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6. [학술지] Marbach-Ad, G. / 2000 / Can undergraduate biology students learn to ask higher level question?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8) : 854 ~ 870

  27. [학술지] McComas, W. F. / 2001 / The expectancy effect in secondary school biology laboratory instruction /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3 (4) : 246 ~ 252

  28. [단행본] Sheppard, C. N / 1991 / The observation competence of grade six science students /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29. [학술지] Smith, B. K. / 2005 / Explaining behavior through observational investigation and theory articulation /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4 (3) : 315 ~ 360

  30. [학술지] White, R. T. / 1993 / Probing understanding: The use of a computerbased tool to help preservice teachers map concepts /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7 (4) : 283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