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몇 년 사이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신선식품 시장에 진출하는 전자상거래 기업들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가 중국 전역에 창궐하면서 비대면 비즈니스(Untact Business)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에 따라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시장도 급변하며 다양한 신소매(新零售) 모델들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신소매 모델의 발전 배경과 특징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신선식품 전자상거래의 단계별 발전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거의 연구가 되지 않은 중국 신선식품의 신소매 모델을 소개하고 각 모델별로 대표적인 기업사례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신선식품 신소매 기업의 4가지 모델에서 나타난 경영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택배’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징둥다오자(京东到家)는 판매망이 전국으로 확산해 있다. 특히 징둥닷컴과 연계하여 배송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다. 둘째, ‘매장+택배’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허마셴성(盒马鲜生)은 기존의 오프라인매장을 ‘오프라인 체험+온라인구매’ 방식으로 운영하여 소비자가 직접 신선식품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어 구매만족도가 높다. 특히 알리바바(阿里巴巴)의 방대한 빅데이터와 AI기술 등이 더해져 미래형 소매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전치창고+택배’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메이르유셴(每日优鲜)은 대도시에 콜드체인시스템을 갖춘 전치창고를 두어 대도시에서 유리한 판매 형태를 갖추고 있다. 넷째, ‘사구(社區)소매점’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싱성유쉬안(兴盛优选)은 지역주민의 신선식품 수요를 기반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운영 중인데, 플랫폼이 활성화된다면 향후 중소도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 신선식품 신소매 기업은 단기간에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는 중국 소비자들의 증가와 맞물려 더욱 빠른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우리 기업은 중국 신선식품 신소매의 변화와 흐름을 면밀히 파악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최근 몇 년 사이 높아진 중국인들의 자국 브랜드 선호도, 중국 소비시장을 이끌어가는 빠링허우(八零后, 80년대 생), 쥬링허우(九零后, 90년대 생), 링링허우(零零后, 2000년대 생)의 소비성향, 1인 가구의 증가, 인구 고령화로 인한 실버소비의 증가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중국 신선식품 신소매시장 진출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Since Ma Yun put forward the concept of ‘new retail’ in 2016, major enterprises have actively explored and deployed new retail.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mmerce of fresh food, e-commerce companies entering the fresh food market have rapidly increased. Fresh food is daily essential articles of diet, including fruits and vegetables, marine products, meat, and dried products. Considering the size of China"s population, the demand for fresh food is huge .
Therefore, in the past two years, a series of online and offline mergers have emerged to explore new retail fresh supermarkets. The new retail giants, such as Alibaba"s Hemaxiansheng, Jingdong"s 7FRESH, have emerged. In particular, from the beginning of 2020, the COVID-19 has been affecting all over China, and the Untact Business has been rapidly developing. Along with this, e-commerce of fresh food has also developed and new models have emerged.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background and features of the new retail model, this study looked at the step-by-step development of fresh food e-commerce. In addition, the company introduced new retail models of fresh Chinese food products, which were rarely studied in Korea, and compared and analyzed representative corporate cases for each model.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신선식품 신소매의 발전과정과 특징
Ⅲ. 신선식품 신소매 주요 모델과 그 특징
Ⅳ. 주요 모델의 기업 사례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