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3.9
3.145.163.9
close menu
KCI 등재
남자 청소년 대상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Male Adolescents
김희란 ( Heeran Kim )
청소년학연구 29권 4호 211-235(25pages)
DOI 10.21509/KJYS.2022.04.29.4.211
UCI I410-ECN-0102-2023-300-000747176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네스코의 성교육 지침을 기반으로 개발된 성평등 중심의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참여자들의 성인지·성평등 인식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청소년 성교육·성상담 전문기관인 아하! 서울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에서 개발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남자 중학교 2곳에서 1학년을 대상으로 4차시로 구성된 교육을 실행하였다. 통제군이 있는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 방법으로 4개 영역(성 고정관념인식, 성적 주체성인식, 관계에서의 동의인식, 성평등(페미니즘)인식)의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검증하였고 교육으로 인하여 실험군에 어떤 변화들이 있는지 상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또한 교육에 참여한 강사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효과 차이가 있는지 다변량분석(M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남자 청소년에게 종속변인의 하위변인 4개 중 3개(성 고정관념인식, 성적 주체성인식, 성평등(페미니즘)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관계에서의 동의인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하위변인 간의 관련성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실험군 청소년의 사전조사에서는 성적 주체성과 성평등 인식 간에 부적 상관이었는데, 사후조사에서는 부적 상관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을 진행한 강사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gender equality for male adolescents developed in a reality wher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male adolescents are rare in Korea(ROK). The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ha! Sexuality Education & Counseling Center for Youth.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two male middle schools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21. As a pre and post quasi experimental design method with a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participants. As the main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covariate analysis, nonparametric covariate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used. The program prov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le adolescents in 3 out of 4 sub-variables of the dependent variable (perception of ‘gender stereotype’, ‘sexuality subjectivity’, and ‘gender equality’). The program also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In the pr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subjectivity and gender equality,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disappear in the post.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gram effectiveness in the gender and age of the facilit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suggested with further stud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