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31.109
18.222.31.109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적지지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 Moder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오옥선 ( Oh Ok Sun )
청소년학연구 24권 5호 107-130(24pages)
DOI 10.21509/KJYS.2017.05.24.5.107
UCI I410-ECN-0102-2023-300-00053121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2017년 5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총 30일 간 서울, 경기, 제주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1~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396개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중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가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있었다. 둘째, 정서적지지와 정보적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상호작용하여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정서적지지 및 정보적지지가 높은 개인들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취업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정서적지지 및 정보적지지가 낮은 개인들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취업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있었다. 이는 사회적지지가 낮은 개인들이라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면 취업스트레스가 감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대학 차원의 진로교육이나 상담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집중하여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 요인들을 실증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first to fourth year college students of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Jeju.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396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social support, when emotional,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s were higher, employment stress was lower. Second, emotional and information supports interac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reby, influenced employment stress. In other words, when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s were higher, the subjects reported lower employment stress regardless of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ereas individuals with lower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s had lower employment stress wh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er. This suggests that, even if the social support is low, by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dividuals can reduce employment stress. This study proposed, as a way to improv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education or consultation on a university level. Also,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at it verified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help reduce employment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