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신라의 사리장엄구들은 독창적인 양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들과 동시대 중국 불교문화와의 상관성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신라의 주요 사리장엄구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양식적, 불교문화적 특징과 동시대 중국 불교문화와의 상관성에 대해서 비교 고찰하였다. 신라는 불교 공인 이후 왕실을 중심으로 정치적 목적을 가진 중국 남조 양 무제의 사리신앙과 장엄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발전시켰다. 신라에 사리가 처음 전래된 진흥왕 연간부터 통일 이전인 7세기 중반경까지의 사리장엄구들은 대부분 왕실에서 발원하였으며, 정치적 목적이 강조된 아육왕 전승 구현과 연결된 사리신앙을 발전시켰다. 당시 신라 왕실은 동시대 중국 황실의 사리신앙 및 불교문화 동향의 변화에 꾸준히 주목하고, 중국 불교문화와 깊은 상관성을 가지며 사리장엄구를 제작했다. 통일 직후에 제작된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들은 독특한 방추형함과 보장형사리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신라만의 독특한 불교미술 양식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의 법문사 사리공양의례의 영향이 신라적 양식으로 변용된 것이다. 8세기 전반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면서 신라의 사리장엄구는 법사리장엄 의례가 중심이 되었고, 사리장엄구의 형식은 단순하고 간소화되었다. 이는 8-9세기경 중국 당나라 황실에서 법문사 탑의 불지골사리를 중심으로 성대한 의례와 화려한 사리장엄구들을 제작했던 것과는 상당히 다르다. 신라의 사리장엄구와 중국 불교문화의 상관성은 사리신앙 전래 초기에는 상당히 깊게 연결되어 있었지만,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에는 점차 서로간의 상관성이 멀어졌으며, 9세기 이후에는 불교문화와 사상적 차이로 인하여 신라와 당의 사리장엄구는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발전했다.

키워드

사리장엄구, 신라, 당(唐), 아육왕탑, 감은사, 법문사(法門寺), 법사리장엄

참고문헌(77)open

  1. [기타] / 廣弘明集 (「大正藏」52)

  2. [기타] / 大智度論 (「大正藏」26)

  3. [기타] / 三國史記

  4. [기타] / 三國遺事

  5. [기타] / 梁書

  6. [기타] / 歷代三寶記 (「大正藏」49)

  7. [기타] / 集神州三寶感通錄 (「大正藏」51)

  8. [기타] / 合部金光明經 (「大正藏」16)

  9. [보고서] 국립경주박물관 / 2018 / 皇龍寺

  10.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0 /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11. [보고서] 國立中央博物館 / 1991 / 佛舍利莊嚴

  12. [보고서] 金聖洙 / 2000 / 無垢淨光大陁羅尼經의 硏究

  13. [보고서] 金載元 / 1961 / 感恩寺址發掘調査報告書

  14. [단행본] 金福順 / 2008 / 新思潮로서의 신라 불교와 왕권 / 景仁文化社

  15. [보고서] 불국사박물관 / 2018 / 불국사

  16. [단행본] 신대현 / 2003 / 한국의 사리장엄 / 혜안

  17. [단행본] 이난영 / 2012 /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 [단행본] 주경미 / 2003 /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 일지사

  19. [단행본] 츠카모토 게이쇼 / 2008 / 아쇼까왕 비문 / 불교시대사

  20. [보고서] 陝西省考古硏究院 / 2007 / 法門寺考古發掘報告 上・下

  21. [단행본] 吳立民 / 1998 / 法門寺地宮唐密曼茶羅之硏究 / 中國佛敎文化出版有限公司

  22. [단행본] 諏訪義純 / 1997 / 中國南朝佛敎史の硏究 / 法藏館

  23. [단행본] Harry Falk / 2006 / Aśokan Sites and Artefacts / Verlag Philipp von Zabern

  24. [단행본] John S. Strong / 1983 / The Legend of King Aśoka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학술지] 김리나 / 1979 / 皇龍寺의 長六尊像과 新羅의 阿育王像係 佛像 / 眞檀學報 46-47 : 196 ~ 215

  26. [학술지] 김선경 / 2008 / 靈泉寺 塔林 硏究 試論 / 미술사학연구 260 (260) : 105 ~ 141

  27. [학술지] 김연수 / 2000 / 한국 사리기에서의 ‘寶帳’ 형태에 대한 고찰 / 미술자료 (65) : 1 ~ 27

  28. [학술지] 南東信 / 1996 / 의상(義相) 화엄사상의 역사적 이해 / 역사와 현실 20 : 39 ~ 65

  29. [학술지] 南東信 / 2001 / 新羅 中古期 佛敎治國策과 皇龍寺 / 新羅文化祭學術會議發表論文集 22 : 7 ~ 31

  30. [학술지] 賴依縵 / 2012 / 경전들과 존상들 - 9세기 중국 법문사에서 발굴된 금강계 만다라 / 회당학보 17 : 262 ~ 284

  31. [학술지] 박경식 / 2012 / 彌勒寺址 石塔과 隨·唐代 亭閣型佛塔과의 比較 / 백산학보 (92) : 129 ~ 166

  32. [학술지] 박대남 / 2009 / 사찰구조와 출토유물로 본 芬皇寺성격 고찰 / 한국고대사탐구 (3) : 39 ~ 85

  33. [학술지] 박대남 / 2010 / 중국 隋 仁壽 4년 神德寺 舍利具 연구 / 한국고대사탐구 (6) : 201 ~ 249

  34. [학술지] 소현숙 / 2016 / 梁 武帝와 隋 文帝의 塔像儀禮와 佛敎的‘敎化’政治 - 懺悔와 受戒, 그리고 感應과 滅罪의 과정을 중심으로 / 미술사학연구 290291 (290291) : 151 ~ 173

  35. [학술지] 신대현 / 2002 / 韓國 古代 舍利莊嚴의 의 樣式 硏究 -특히 ?閣形 舍利器의 발생과 전개에 대하여 / 문화사학 (17) : 37 ~ 62

  36. [학술지] 심영신 / 1997 / 통일신라시대 四天王像 연구 / 미술사학연구 (216) : 5 ~ 47

  37. [학술지] 楊效俊 / 2018 / 隋仁寿舍利塔形制试探 / 불교미술사학 26 : 181 ~ 218

  38. [학술지] 李蘭暎 / 1991 / 魚子文 技法 / 眞檀學報 (71-72) : 187 ~ 209

  39. [학술지] 이승혜 / 2017 / 北宋 金陵 長干寺 眞身塔 地宮 출토七寶阿育王塔 試論 / 미술사학연구 295 (295) : 153 ~ 182

  40. [단행본] 李弘稙 / 1954 / 韓國古文化論攷 / 乙酉文化社 : 1 ~ 27

  41. [학술지] 임영애 / 2010 / 북방 다문천의 보탑 도상 해석- 도상 형성 원인과 원·고려 이전의 양상 - / 미술사와 시각문화 (9) : 86 ~ 115

  42. [학술지] 임영애 / 2011 / '석굴암 사천왕상'의 도상과 불교 경전 / 강좌미술사 (37) : 23 ~ 48

  43. [학술지] 전중배 / 2005 / 唐代의 한・중 불교교류 - 7세기 후반 ~ 8세기 초 唐皇室의 法門寺 사리공양을 중심으로 / 회당학보 10 : 12 ~ 32

  44. [단행본] 주경미 / 1997 / 실크로드 文化와 韓國文化 - 硏究史・總論・考古・美術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475 ~ 525

  45. [학술지] 주경미 / 2002 / 韓國 古代 佛舍利莊嚴에 미친 중국의 영향 / 미술사학연구 235

  46. [학술지] 주경미 / 2003 / 中國 古代 皇室發願 佛舍利莊嚴의 정치적 성격 - 易姓革命의 선전물로서의 眞身舍利供養 / 東洋學 33 : 35 ~ 60

  47. [학술지] 周炅美 / 2003 / 隋文帝의 仁壽舍利莊嚴 硏究 / 중국사연구 22 : 81 ~ 128

  48. [학술지] 주경미 / 2004 / 韓國 佛舍利莊嚴에 있어서 無垢淨光大陁羅尼經의 意義 / 불교미술사학 2 : 165 ~ 196

  49. [학술지] 주경미 / 2004 / 唐代 慶山寺 地宮 出土 佛舍利莊嚴의 新硏究 / 중국사연구 (29) : 71 ~ 106

  50. [학술지] 주경미 / 2005 / 통일신라시대 전성기 공예양식의 변화와 발전 / 신라문화 (25) : 209 ~ 241

  51. [학술지] 주경미 / 2006 / 탑형 사리장엄구 - 건축 이미지의 공예적 변용 / 미술사와 시각문화 (5) : 224 ~ 249

  52. [학술지] 周炅美 / 2006 / 吳越王 錢弘의 佛舍利信仰과 莊嚴 / 역사와경계 (61) : 57 ~ 85

  53. [단행본] 주경미 / 2007 /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 예경 : 576 ~ 597

  54. [학술지] 주경미 / 2008 / 皇龍寺 九層木塔의 舍利莊嚴 再考 / 역사교육논집 (40) : 277 ~ 318

  55. [학술지] 주경미 / 2009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의 硏究 / 중국사연구 (60) : 69 ~ 117

  56. [학술지] 주경미 / 2009 / 宋代 靜志寺塔 地宮의 佛舍利 再埋納과 莊嚴方式 硏究 / 미술사학 23 : 73 ~ 109

  57. [학술지] 주경미 / 2011 / 8~11세기 동아시아 탑내 다라니 봉안의 변천 / 미술사와 시각문화 (10) : 264 ~ 293

  58. [학술지] 주경미 / 2012 / 吳越國王 錢鏐의 寧波 阿育王塔 공양과 그 의의 / 중국사연구 (77) : 35 ~ 69

  59. [학술지] 주경미 / 2012 / 양 무제의 아육왕 전승 구현과 고대 동남아시아 / 인문논총 (67) : 3 ~ 47

  60. [학술지] 주경미 / 2014 / 新羅 舍利莊嚴方式의 형성과 변천 / 신라문화 43 (43) : 173 ~ 206

  61. [학술지] 주경미 / 2014 / 模倣과 再現 -南宋 皇室의 寧波 阿育王塔 供養과 그 影響- / 중국사연구 (93) : 225 ~ 259

  62. [학술지] 주경미 / 2015 / 韓國 石塔 出現期 舍利莊嚴方式의 變化 樣相 / 백제연구 (62) : 71 ~ 99

  63. [학술지] 주경미 / 2016 / 신라 중대 불사리장엄의 다양성과 문화사적 의의 / 한국고대사탐구 (23) : 249 ~ 290

  64. [단행본] 주경미 / 2016 / 백제 사리장엄과 동아시아 불교문화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74 ~ 103

  65. [학술지] 주경미 / 2017 / 불사리장엄구의 문화적 양가성 / 진단학보 (129) : 49 ~ 74

  66. [학술지] 주경미 / 2017 / 백제 위덕왕의 불교적 치세관 형성과 6세기 중국의 정세 변화 / 한국고대사탐구 (27) : 179 ~ 214

  67. [학술지] 주경미 / 2018 / 불국사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연구 / 韓國史學報 (73) : 29 ~ 69

  68. [단행본] 주경미 / 2019 / 문자와 고대 한국 2 - 교류와 생활 / 주류성 : 385 ~ 409

  69. [학술지] 최성은 / 2011 / 신라 皇龍寺 중금당 장육삼존불상에 대한 연구 / 신라사학보 (23) : 235 ~ 298

  70. [학술지] Pankaj Mohan / 2004 / 6세기 신라에서의 아소카상징(Asokan Symbolism)의 수용과 그 의의 / 한국사상사학 (23) : 195 ~ 222

  71. [학술지] 韓政鎬 / 2006 / 慶州 九皇洞 三層石塔 舍利莊嚴具의 再照明 / 美術史論壇 (22) : 61 ~ 88

  72. [학술지] 한정호 / 2008 / <皇龍寺刹柱本記>와 불사리장엄구 연구 / 미술자료 (77) : 15 ~ 40

  73. [학술지] 黃壽永 / 1973 / 新羅皇龍寺 九層木塔 刹柱本記와 그 舍利具 / 東洋學 : 269 ~ 328

  74. [학술지] 南京市考古硏究所 / 2015 / 南京大報恩寺遺址塔基與地宮發掘簡報 / 文物 (5) : 4 ~ 52

  75. [학술지] 水野敬三郞 / 1990 / 感恩寺西塔舍利具の四天王像 / 佛敎藝術 (188) : 70 ~ 79

  76. [학술지] 李举綱 / 2005 / 隋神德寺遺址出土舍利石函上的天王圖像 / 陝西歷史博物館館刊 (12) : 162 ~ 165

  77. [학술지] 朱捷元 / 1974 / 陝西長安和耀縣發現的波斯薩珊朝銀幣 / 考古 (2) : 126 ~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