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에 따른 한국가족의 발달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공세권(1987)의연구틀을 빌어 결혼코호트별로 가족생애주기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세권은 「한국의 가족생활주기조사」를 통해 15-64세 기혼여성 3,013명을 대상으로 1935-44년 결혼코호트부터 1975-85년 결혼코호트까지 가족주기 6단계(형성기, 확대기, 확대완료기, 축소기, 축소완료기, 해체기)의 구성비율과 구성시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7,330명의 기혼여성을 1958-84년, 1985-94년, 1995-04년 결혼코호트로 구분하여 공세권 연구 이후의 가족생애주기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가족생애주기의 절대적 시간은 연장되었고, 가족생애주기가 개인의 생애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였다. 둘째, 자녀수가 감소함에 따라 확대기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되었고, 확대완료기는 연장되었다. 확대완료기가 연장되었다는 것은 가족의 구조적 변화가 없는 안정적 시기가 연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축소기는 단축되었고, 축소완료기는 연장되어 부부 두 사람만 생활을 공유하는 시기는 연장되었다. 넷째, 지속적으로 연장되어오던 해체기가 1985-94년 결혼코호트부터는 단축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가족의 구조적 변화는 압축적으로 진행되는 반면발달적 변화는 더 장기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가족관계와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것으로 예측된다.

키워드

가족생애주기, 결혼코호트, 여성가족패널, 가족의 인구학적 변화

참고문헌(27)open

  1. [보고서] 공세권 / 1987 / 한국 가족구조의 변화: 가족생활주기 조사를 중심으로

  2. [학술지] 김민녀 / 2006 /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자의 결혼만족도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4) : 655 ~ 671

  3. [학술지] 김선영 / 2008 / 한국가족학회지의 가족연구 경향 분석 / 가족과 문화 20 (4) : 143 ~ 182

  4. [보고서] 김승권 / 2012 /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5. [보고서] 김승권 / 2009 / 2009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6. [학술지] 김하영 / 2008 /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가유형, 여가유능감 및 가족여가공유여부의 관계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 (3) : 85 ~ 96

  7. [학술지] 박수미 / 2002 /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 한국사회학 36 (2) : 6 ~ 29

  8. [학술지] 백은영 / 2005 / 가족생활주기 관점에서 본 가계의 재정목표, 문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질적 접근방법의 적용 / 소비자학연구 16 (2) : 87 ~ 110

  9. [학술지] 양정선 / 2003 /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계의 교육비 지출 분석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 (1) : 135 ~ 152

  10. [단행본] 전미경 / 2012 / 근대가족, 길모퉁이를 돌아서다. / 동국대학교출판부

  11. [학술지] 유영주 / 1984 / 한국도시가족의 가족생활주기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 (1) : 111 ~ 129

  12. [학술지] 유재언 / 2013 / 가족친화 지역사회 요소가 생활환경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거주자의 가족생애주기 단계별 비교 / 가족과 문화 25 (3) : 97 ~ 127

  13. [학술지] 은기수 / 2001 /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 최근의 낮은 출산력 수준에 미친 함의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 6 : 105 ~ 139

  14. [학술지] 이정섭 / 2011 /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에 대한 출생코호트 접근과 해석 : 진주시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 (1) : 75 ~ 95

  15. [학위논문] 全泰允 / 1986 / 한국의 지역생명표 작성에 관한 연구

  16. [학술지] 전효정 / 2007 / 생태학적 가족복지모형을 적용한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심리적 복지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 (5) : 121 ~ 133

  17. [보고서] 정경희 / 2012 / 가족구조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18. [학술지] 진미정 / 2014 / 50~60대 기혼 남녀의 노년기 가족생활 전망:동거 가족, 돌봄자, 거주지 전망과 관련된 요인 탐색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 (1) : 27 ~ 41

  19. [학술지] 천현진 / 2007 / 도시 근로자가계의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소득 및 소비지출 구조 분석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 (1) : 65 ~ 81

  20. [단행본] 한경혜 / 2014 / 가족발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1. [단행본] 한경혜 / 1997 / 인구변화와 삶의 질

  22. [학술지] 함인희 / 1999 / 가족주기의 변화와 주부역할의 딜렘마-여성잡지 광고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가족과 문화 11 (2) : 47 ~ 72

  23. [단행본] Cherlin, A. J. / 2009 / The Marriage-Go-Round: The State of Marriage and the Family in America Today / Vintage Books

  24. [학술지] Glick, P. C / 1947 / The Family Cycle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2 : 164 ~ 174

  25. [학술지] Glick, P. C. / 1965 / New Approaches in Studying the Life Cycle of the Family / Demography 2 : 187 ~ 202

  26. [단행본] Kwon, T. H. / 1977 / Demography of Korea: Population Change and Its Components 1925-66 /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7. [단행본] White, J. M. & / 1996 / Family Theory: An Introduction /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