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바이오미미크리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Research of Biomimicry Space Design Characteristic based on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한국디자인포럼
약어 : -
2014 no.43, pp.105 - 118
DOI : 10.21326/ksdt.2014..43.010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39 회 열람

생체모방학(Biomimicry)은 생태계와 생명체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과학적 장비, 첨단 기술을 동원하여 자연의 생명현상을 분석하고 작동 원리를 파악하여 이를 인간생활에 반영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자 하는 학문분야로 우리가 지금까지 발전시켜온 첨단과학 기술을 외면하지 않고서도 이를 활용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 때문에 지속가능한 건축 공간을 위해서는 생태계 전반에 걸친 심도 있는 연구와 이를 물리적 요소와 공간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 및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태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생태학적 특성이 반영된 생태건축과 바이오미미크리 디자인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제시될 바이오미미크리 건축의 특성과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각 디자인 요소의 적용 방법을 파악하였다. 생태계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바이오미미크리 건축과 디자인은 자연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기술 혁신이라는 현실적 가치를 넘어 근본적으로 인간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바꾸는 윤리적인 측면까지 지니고 있기 때문에 더욱 의의가 있다. 바오이미미크리는 향후 지속가능한 건축 환경과 새로운 미지의 세계에서의 인간의 생활방식에 대한 연구에 많은 방향성 제시할 것이다. 앞으로의 디자인과 기술은 인간의 탐욕을 위한 도구가 아닌 인간과 자연의 공생적 성장을 위한 도구로써 활용 될 것이다.

Biomimicry is a study where life phenomena in nature and working principles were analysed with the use of theoretical research on the ecological world, living creatures, scientific equipment, and advanced technology and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human lives with better living conditions. Thanks to this, we can hav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different viewpoints. So for sustainable architectural spaces, intensive research on the ecological world and its processes and the expressive strategies which can apply these results to a spatial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logical world. Biomimicry architecture and design elements are present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ecological architecture and biomimicry in design, as well as how to apply the developed design elements in real design through a case study. Biomimicry in architecture and design, created through inspiration from the ecological world, has an ethical value to change our attitudes toward nature as well as a real value of being eco-friendly and a sustainable innovation in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provide direction for research on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human life styles for the unknown future, and design and technology will be used as instruments for the symbiotic growth of humans and nature instead of instruments to satisfy human greed.

바이오미미크리 디자인과 건축, 바이오메틱스, 생태학, 컨텍스트
Biomimicry Design & Architecture, Biometics, Ecological, Context

  • 1. [학위논문] 고귀한 / 2011 /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 [학위논문] 김수미 / 2005 / 프로그램 해석을 기반으로 한 실내 공간 디자인에 있어 다이어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3. [단행본] 김자경 / 2004 / 자연과 함께하는 건축 / 시공문화사
  • 4. [단행본] 권영걸 / 2011 / 공간디자인 16강 / 국제
  • 5. [단행본] 로버트 앨런 / 2011 / 바이오미메틱스 / 시그마북스
  • 6. [단행본] 이상헌 / 2013 / 자연에서 배우는 청색기술 / 김영사
  • 7. [학위논문] 이연희 / 2006 / 디자인 요소로서의 생태건축에 관한 연구
  • 8. [학술지] 윤민희 / 2012 /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자인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8 (3) : 284 ~ 3 kci
  • 9. [학위논문] 엘레나 / 2013 / 바이오미미크리를 활용한 건축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 디지털 디자인 건축 시대 이전과 이후의 비교·분석
  • 10. [단행본] 채수명 / 2002 / 디자인마케팅 / 도서출판국제
  • 11. [학위논문] 최창배 / 2011 / 자연의 형태에서 도출된 유기적 디자인의 특성 분석
  • 12. [학위논문] 최성경 / 2014 /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바이오미미크리 건축 디자인 요소 연구
  • 13. [학술지] 허경하 / 2010 / 생체모방을 적용한 건축구성 방식에 관한연구 / 12 (1) : 133
  • 14. [인터넷자료] / http://inhabitat.com
  • 15. [인터넷자료] / http://vincent.callebaut.org/
  • 16. [인터넷자료] / http://www.archdaily.com
  • 17. [인터넷자료] / http://www.edenproject.com/
  • 18. [인터넷자료] / http://www.gardensbythebay.com.sg/en/hom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