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019년 코로나-19의 전파로 전 세계적 경제난과 더불어 최근 취업의 어려움으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항공사의 경우 2020년 신규채용이 전혀 없었고 향후 몇 년 뒤까지도 채용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항공업계의 닫힌 고용 문제는 현재 항공서비스 전공 졸업예정자들에게 커다란 취업 스트레스이고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 항공서비스 전공 졸업예정자들이 경험했거나 경험하고 있는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항공 서비스 전공 졸업예정자들이 겪은 취업스트레스가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 경험들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생생하게 서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항공서비스 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취업과 관련 있는 진로결정수준, 진로전환,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개념 파악을 하였다. 또한, 항공서비스 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방법 수행을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6명의 항공서비스 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스트레스 관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 절차에 따라 인터뷰 면담내용 분석결과 비슷한 의미의 문장 단위들을 묶은 다음, 총 6개의 하위주제 구성요소들( 취업 불확실성, 자신감 저하, 불가피한 진로전환, 진로전환의 두려움, 준비부족, 지원부족 )을 분류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위주제 구성요소들은 최종 3개의 상위주제 구성요소들(취업불안, 진로전환, 취업준비)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는 학문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도 있지만 항공서비스 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첫 번째 현상학적 연구이다 보니 연구한계점도 있다.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2020, it is difficult to find employment, and prospective graduates’ job-seeking has become a social proble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airlines that were hit hardest by COVID-19, there was no new hiring in 2020, and hiring is uncertain for the next few years. The employment problem in the airline industry has resulted in tremendous job-seeking stress for prospective 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and in-depth research on their job-seeking stress is needed to understand this probl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vidly describe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job-seeking stress that prospective 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have suffered or are suffering in the situation of COVID-19.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concep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transition related to the job-seeking stress of prospective 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were reviewed. In addition, to conduct phenomenological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job-seeking stress of six prospective 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cedure, sentence units with similar meanings were grouped according based on the results of interview content, and then a total of six sub-components (job-seeking uncertainty, loss of confidence, inevitable career transition, fear of career transition, lack of preparation, and lack of support) were identified. Finally, the six sub-components were derived into the three main components as high-level topics(job-seeking anxiety, career transition, and preparation for job-seeking). Although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re are limitations as it is the first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job-seeking stress of prospective 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