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255.139
18.119.255.139
close menu
KCI 등재
코로나19(COVID-19) 상황 특수교육 대상 유아의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 실태 및 유아특수교육전문가들을 위한 지원 요구
State of Early Intervention Services Provided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during COVID-19
강성리 ( Kang Seongri ) , 허계형 ( Heo Kay-heoung ) , ( Lee Jane J. ) , ( Hix-small Hollie ) , ( Steed Elizabeth )
UCI I410-ECN-0102-2023-000-001082740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국내 유아특수교육전문가의 장애 영ㆍ유아대상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 실태와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장애 영ㆍ유아 대상 교육 및 보육, 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아특수교육전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외 유아특수교육분야 연구진들이 개발한 온라인 설문을 배포하였다. 총 105개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 실태에 대한 빈도분석, 다중응답 방법 분석, 개방형 문항에 대한 분류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특수교육전문가가 제공하는 조기중재 및 유아특수교육 서비스 실태와 어려움, 재난 상황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난 상황에서 특수교육 대상 유아들을 위해 요구되는 조기중재 서비스와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을 위한 지원 요구 방안을 논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에 대하여 추가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early intervention services provided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during COVID-19. An online questionnaire developed by foreign and Korean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as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professionals who provide education, childcare, and therapeutic services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ationwide. A total of 10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answering method were used for multiple choices, and categorizing analysis has been implemented on the open-ended answers. Results of the study present the current status,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intervention and special educatio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ovided by early childhood special professionals during COVID-19. Based on the results,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ive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professionals during a pandemic situation are discussed. Additio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has been follow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