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48.231
52.15.48.231
close menu
KCI 등재
경기도 화성지역 관광객 특성과 이동네트워크 특성 분석을 통한 관광지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 Network of Visitors for Tour Activating - Focusing on Hwaseong City, South Korea
임은순 ( Yim Eun-soon ) , 김민선 ( Kim Min Sun ) , 엄혜미 ( Um Hyemi )
국제지역연구 22권 4호 189-208(20pages)
DOI 10.21212/IASR.22.4.10
UCI I410-ECN-0102-2019-300-001394010

본 연구는 경기도 화성시의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객 이동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관광지의 공간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관광객의 특성 뿐 아니라 이동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화성시의 지역 관광자원에 대한 가치를 제고하고, 허브와 스포크(Hub-and-Spoke)의 관광개발 개념을 적용하여 경기도 화성지역의 관광지들 간에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화성시를 방문한 623명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방문한 관광지들에 대해 설문했으며, 설문자료를 다시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 그룹으로 구분한 후 소셜 네트워크 분석기법(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각 동선을 파악하고 전체적인 관광객 이동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과 허브 관광지를 찾아내었다. 분석 결과,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모두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의 20개 관광지의 관광목적지 순위와 상위 5개 관광지의 순위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가 방문하는 관광지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유명 관광명소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화성시를 관광하는 지역 관광객들의 이동 네트워크를 살펴봄으로써 관광지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한 연구 결과가 향후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실무적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지역관광의 균형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validates if this relationship results in differences of significance levels between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and analyzes if there exist any differences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SNA) for the spacial attributes of movement network Focusing on Hwaseong city, South Korea. It is important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our sites in Hwaseong by enhancing the value of tourism resources and applying the concept of hub-and-spoke tourism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zing the centrality of tourist movement network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ll did not show much variation for 20 tourist attractions versus the top five. That is, the attractions that both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visit are concentrated in well-known, famous places. The authors hope that this study, which defines practical interactions among attractions based movement, will be used as practical data for developing tourist retention marketing strategies.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경기도 화성시 관광현황 및 관광객의 특성
Ⅳ. 이동 네트워크 분석 및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