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의료정보전달을 고려한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Redesigning Medical Examination Result Form Considering Medical Literacy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약어 : JIDR
2018 vol.17, no.3, pp.93 - 102
DOI : 10.21195/jidr.2018.17.3.008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152 회 열람

연구배경: 20세기 이후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고령화로 인해 심뇌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검진 수검률 또한 꾸준히 증가 추세이다. 검진 이후에는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검진결과지를 제공받는데 이는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2011년 새롭게 디자인한다. 그러나 디자인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그래프와 컬러의 대비, 용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수검자와 의료진들의 낮은 이해도와 만족도로 인해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관련 문헌조사와, 정보디자인에 관한 문헌고찰, 의사, 간호사, 디자이너를 통한 결과지의 문제점분석을 통하여 1차 개선안 도출 후 이를 통해 다시 한 번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다. 이렇게 나온 문제점을 개선하고 정리하여 최종 디자인안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본 연구자가 제안한 C결과지에서 서체, 컬러, 그래프가 일관되며 종합소견의 여백이 확보되어 보다 전반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고 쉽게 인지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결론: 단지 디자인적인 부분에서만 결과지를 향상시킨 것이 아니라 직접 의료진과 접촉하여 여러 차례 자문하여 용어에 대한 정리와 수정을 진행하였고, 기존의 검진결과지의 필수적인 컨텐츠를 유지하면서 의료진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수정보완 결과 일반적인 사용자인 수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에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s the average life span of human beings has increased since the 20th century, chronic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are increasing due to aging, and the rate of screening of health screenings is also steadily increasing. After the screening, the results of the screening for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l staff are provided, which will be newly designed by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in 2011. However, despite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there is a problem due to the poor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he examinees and the medical staff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graph and the contrast of color and difficulty of terminology. Methods: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literature related to health screening, reviewing literature on information design, analyzing problems of results through doctors, nurses, and designers, we draw up the first improvement and conduct an in - depth interview again. I am suggesting the final design by improving and summarizing the problems.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font, color, and graph of the C result paper proposed by the present researcher are consistent and the margin of the comprehensive findings is secured, so that the general health status can be grasped at a glance and easily recognized. Conclusion: It was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result in the design part, but also contact with the medical staff and consulted several times to organize and revise the terminology and improve the functional aspect while maintaining essential contents from the medical viewpoin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opinions of the medical staff are actively reflected while maintaining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existing examination results, and the positive answers are also obtained for the general users, as a result of the correction and correction.

건강검진 결과지, 의료정보전달, 사용자
Medical Examination Result Form, Medical Literacy,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