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아파트 주거환경이 다양한 거주자의 거주만족도와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거주하고 싶은 정주환경으로 조성될 수 있는 계획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커뮤니티 활성화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아파트에서 거주자가 가지는 커뮤니티 의식 수준을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아파트 커뮤니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을 커뮤니티 의식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정주공간으로서의 아파트 주거공간 조성방안 모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연구를 통하여 커뮤니티의식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 그리고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하여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또 커뮤니티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하여 분석에 사용할 영향요인들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파악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할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시 아파트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분석프로그램(SPSS WIN V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을 하였다.

키워드

커뮤니티의식, 고층고밀 아파트, 정주환경, 영향요인

참고문헌(22)open

  1. [학술지] 김광복 / 2005 /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 국토계획 40 (7) : 74 ~ 86

  2. [학술지] 김경준 / 1998 /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개발연구 23 (2)

  3. [학술지] 김남선 / 1995 / 아파트 단지 주민의 공동체 의식 형성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개발연구

  4. [학술지] 김대욱 / 2005 / 공동주택단지 근린시설 배치유형별 커뮤니티의식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6 (6) : 39 ~ 46

  5. [단행본] 김영변 / 1994 / 공동체 의식과 시민운동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6. [학술지] 김영석 / 2001 / 도시단독주택지에 있어서 환경과 행동과의 상호침투관계 고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 (10)

  7. [학술지] 김종재 / 1992 / 도시민의 커뮤니티 의식 구조 요인 분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 (9)

  8. [학위논문] 金鍾宰 / 1993 / 都市民의 定住·커뮤니티 意識에 關한 硏究

  9. [학위논문] 박재욱 / 2001 / 집합주거단지에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계획안

  10. [학술지] 이경환 / 2008 / 지역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가 주거이동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1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 국토계획 43 (5) : 23 ~ 33

  11. [학술지] 이규인 / 1996 / 주거단지 보차 분리 유형별 거주자 의식 및 공간이용의 평가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 (7)

  12. [학술지] 이라영 / 2009 /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 (03) : 223 ~ 234

  13. [학술지] 장동현 / 2012 / 아파트 옥외공간 배치유형에 따른 공간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 (10) : 105 ~ 114

  14. [학술지] 조성희 / 2004 / 아파트 단지내 공동생활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 (1) : 95 ~ 102

  15. [학술지] 최열 / 2008 / 근린환경 무질서에 대한 주민인식 및 결정요인 분석- 부산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국토계획 43 (2) : 193 ~ 206

  16. [학위논문] 禹 龍 / 1995 / 아파트 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주민관계 분석 : 포항 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17. [학술지] Chavis, D. M / 1990 / Sense of community in urban environment :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

  18. [학술지] Chipuer H.M. / 1999 / A review of the sense of community index /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7 (6)

  19. [인터넷자료] David Chavis / Sense of Community Index 2 (SCI-2): Background, Instrument, and Scoring Instructions / Community Science

  20. [학술지] McMillan D. W. / 1986 / Sense of community: a Theory and definition /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21. [학술지] Misun Hur / 2010 / Neighborhood satisfaction, physical and perceived naturalness and openness /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

  22. [학술지] Sung Heui Cho / 2011 / A Study on Building Sustainable Communities in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 Building and Environment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