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은퇴자의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Retirement Satisfaction of Retirees

노인복지연구
약어 : KJGSW
2009 no.44, pp.345 - 372
DOI : 10.21194/kjgsw..44.200906.345
발행기관 : 한국노인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노인복지학회
105 회 열람

은퇴 후의 삶이 ‘제 2의 인생’이라고 할 정도로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면서 어떻게 하면 은퇴 후의 행복한 삶을 설계할 것인가 하는 은퇴설계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은퇴만족도(retirement satisfaction)는 어떠한지, 어떠한 요인들이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행복한 은퇴생활을 준비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고령화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2,027명의 은퇴자를 대상으로 은퇴전후 대비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전반적인 은퇴만족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은퇴만족도에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경제적요인, 건강요인, 주관적 만족도나 사회활동 및 일과 관련한 요인들이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은퇴 전후 비교 만족도를 분석했을 경우는 주요한 영향요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은퇴 전에 비해 은퇴 후에 더 불만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일과 경제적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은퇴 후 더 만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가의 활용과 관련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경제상태에 대한 주관적 만족과 사회활동 및 일과 관련한 요인들이 은퇴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As life expectancy increased the life after retirement has been longer and important.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life after retirement has raised the great attention to the retirement planning to have a better life afte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retiree's retirement satisfaction to provide a useful information for pre-retirees to have a better life after retirement. Using 2,027 retirees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the study analyzed the retirement satisfaction of the retirees both the overall retirement satisfaction and comparative retirement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retirement. The results of logit analyses showed that factors related to work and economic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eing unsatisfied after retirement compared to before retirement period. Enjoying some leisure tim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being satisfied after retirement compared to before retirement period. The results of ordered logit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s in the model including socio-demograpic factors, economic factors, perceived health, subjective satisfaction, and social activities and wor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overall retirement satisfaction of the retirees. Most of the results of the socio-demograpic factors support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economic factors,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n their financial situation was more important than the absolute amount of net worth. Health and social activities/work were th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retirement satisfaction.

은퇴만족도, 은퇴설계, 서열형 로짓분석
Retirement satisfaction, retirement planning, ordered logit analysis

  • 1. [학술지] 권중돈 / 2002 /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노년학 / 20 (3) : 61 ~ 3
  • 2. [학술지] 김미혜 / 2006 /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노년학 / 26 (1) : 91 ~ 1 kci
  • 3. [학술지] 김태현 / 1999 /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 한국노년학 / 19 (1) : 61 ~ 1
  • 4. [학술지] 김희주 / 2008 /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연구 / 12 (41) : 125 ~ 41 kci
  • 5. [학술지] 박기남 / 2004 /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 한국노년학 / 24 (3) : 13 ~ 3 kci
  • 6. [학술지] 박창제 / 2008 /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 한국사회복지학 / 60 (3) : 275 ~ 3 kci
  • 7. [학술지] 박충선 / 1990 / 대구 경북지역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연구 / 가정생활연구 / 5 : 5 ~
  • 8. [학술지] 배문조 / 2004 /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한가정학회지 / 42 (7) : 89 ~ 7 kci
  • 9. [학술지] 백은영 / 2008 / 은퇴 후 소득 적정성 및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보장연구 / 24 (2) : 27 ~ 2 kci
  • 10. [학술지] 백지은 / 2005 /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23 (3) : 1 ~ 3 kci
  • 11. [학술지] 신현구 / 2007 /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 노동리뷰 / 8 (3월) : 81 ~ 3월
  • 12. [학술지] 안종범 / 2005 / 은퇴자가구의 적정 소득 대체율 / 한국경제연구 / 15 : 5 ~ kci
  • 13. [학술지] 여윤경 / 2005 / 한국 중산층 가계의 노후자금 적정성 / 한국노년학 / 25 (1) : 21 ~ 1 kci
  • 14. [학술지] 원종욱 / 2000 / 국민연금의 적정소득대체율 분석 / 보건복지포럼 / 6 (7)
  • 15. [기타] / 2004 / 고령자통계 / 통계청
  • 16. [기타] / 2007 /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사용자 안내서 / 한국노동연구원
  • 17. [학술지] 한형수 / 2008 /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연구 / 34 (39) : 345 ~ 39 kci
  • 18. [학술지] 한희자 / 2002 / 은퇴자의 은퇴 후 삶의 상태변화 예측요인 / 노인간호학회지 / 4 (2) : 195 ~ 2
  • 19. [학술지] Ando, A. / 1963 / The life 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 and tests / American Economic Review / 53 : 55 ~
  • 20. [학술지] Atchley,R.C / 1989 /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 The Gerontologist / 29 (2) : 183 ~ 2
  • 21. [단행본] Burtless, G / 1984 / The effects of social security on the labor supply of the aged / Washington Brookings
  • 22. [학술지] Chow, K. L. / 2002 /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 54 (1) : 1 ~ 1
  • 23. [학술지] Clark, A. E / 1996 / Satisfaction and comparison income / Journal of Public Economics / 61 : 359 ~
  • 24. [단행본] Cumming, E / 1961 / Growing old: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 Basic Books
  • 25. [학술지] Elder, H. W / 1999 / Does retirement planning affect the level of retirement satisfaction? / Financial Services Review / 8 : 117 ~
  • 26. [학술지] Farquhar,M / 1995 / Elderly people's definitions of quality of life / Social Science and Medicine / 41 (10) : 1439 ~ 10
  • 27. [학술지] Frey, B. S / 2002 / What can economists learn from happiness research? /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 40 (2) : 402 ~ 2
  • 28. [학술지] Gabriel, Z / 2004 /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 Aging & Society / 24 : 675 ~
  • 29. [기타] Gunderson, M / 1993 / Labor Market Economics / McGraw-Hill
  • 30. [단행본] Kennedy,P / 1998 / A guide to econometrics / MIT Press
  • 31. [학술지] Kim, J. E / 2002 / Retirement transition, gend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life course, ecological model / Journal of Gerontology / 57 (3) : 212 ~ 3
  • 32. [학술지] Knapp,M / 1976 / Predicting the dimension of life satisfaction / Journal of Gerontology / 31 (5) : 595 ~ 5
  • 33. [학술지] Lee, W. K. M. / 2004 / Retirement planning and retirement satisfaction: The need for a national retirement program and policy in Hong Kong /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 23 : 212 ~
  • 34. [단행본] Morse, D. W. / 1983 / Life after early retirement: The Experiences of Lower-Level Workers / Rowman & Littlefield Pub
  • 35. [학술지] Perkins,K / 1995 / Social insecurity: Retirement planning for women / Journal of Women and Aging / 7 : 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