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8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연극놀이의 가능성과 효과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종합적으로 시도했다. 메타버스의 개념, 아바타 기능과 특징을 확인하고, 연극놀이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해 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생들이 ‘로블록스’ 플랫폼에서 체험한 결과를 도출한다. 연구의 순서는 첫째,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세계를 이해하고 그 가상세계를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본다. 둘째, 아바타의 기능과 특성을 확인하고 연극놀이의 효용성을 분석한다. 셋째, 학생들은 제시된 희곡의 흐름에 따라 메타버스 기반의 연극놀이를 화상화면과 가상세계에서 체험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메타버스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용성과 전반적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발전 가능성을 예측한다. 그 결과, 유희성, 다양성, 정서적 안정, 교육성, 창의성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아바타를 통한 연극놀이 수업의 의미와 가능성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비대면 연극수업의 질적 발전의 연구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적용에 대한 다각적인 성찰과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discuss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atrical play using metaverse technology. It checks the concept, avatar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analyzes the applicability of plays, and organizes the result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Theatre and Film at Art High School on the “Roblox” platform. The order of research is to first understand the metaverse-based virtual world and look at how to use it in education. Second,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vatars are checked, and the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drama education are analyzed. Third, students experience metaverse-based play on zoom screens and virtual world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presented play. In addition, a pre-post survey is prepared accordingly to analyze the educational utility and overall results of the metaverse theatre play program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As a result, it had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playfulness, diversity, emotional stability, educationality, and creativity. This study has the research value of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theatre classes in that it approaches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theatre play classes through avatars in a metaverse environment. However, multilateral reflection and discussion on the practicality of metaverse and communication issues in art education are needed.

목차

ABSTRACT
I. 서론
Ⅱ. 본론
III.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691-001317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