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8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뮤지컬 노래와 연기를 위한 노래 분석법을 제시하고 적용해 보기 위함이다. 뮤지컬을 무대에서 시연하기까지, 작품의 장르에 따라 학생 및 배우는 노래, 연기, 무용에 이르는 다각적인 연습을 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뮤지컬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단순히 음정, 박자, 선율에 대한 음악적 습득뿐만 아니라, 그 노래를 부르는 인물의 사연과 장면을 복합적으로 표현해야 완성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분석에 관한 연구는 복합적인 분석법의 제시보다는 노래, 연기, 무용의 개별 요소 관점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뮤지컬 노래를 연습하고 무대에 시연하기 위한 복합적인 분석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를 위해 뮤지컬 <스위니 토드>의 토드의 노래 ‘에피파니’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노래의 분석의 단계는 줄거리 및 노래의 위치 파악, 음악 분석, 가사 분석, 우타 하겐의 식스 스텝 분석, 체홉의 심리적 동작 분석의 5단계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위의 단계별 분석의 제시와 적용 결과를 통해 ‘뮤지컬 노래 분석표’가 뮤지컬 이론과 실기를 동시에 연습할 수 있는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d apply a song analysis method for musical songs and acting. Prior to rehearsing a musical on stage, students and actors practice diverse exercises ranging from singing, acting and dancing. Among them, singing a musical song requires the actor not only to learn the pitch, beat and melody of the music but also to express the story and scene of the character in combination. Previous studies on analysis focused 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elements of singing, acting, and dancing rather than the proposal of comprehensive analysis methods. It is time for comprehensive analysis methods to be developed to practice musical songs and demonstrate them on stage. This study selected “Epiphany” sung by Todd from the musical Sweeney Todd(1979) as the subject of analysis. The song was analyzed in five stages: synopsis, music analysis, lyrics analysis, Uta Hagen’s The Six Steps analysis, and Michael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analysis. Through proposing and applying this step-by-step analysis method, this study verifies the usefulness of musical song analysis for practising both musical theory and practical skills at the same time and provides a base for future studies.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