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대 대중음악의 보컬 녹음에서 소리의 다이내믹을 압축해주는 컴프레서는 필수적인 장비이다. 컴프레서는 음악청취를 위한 믹스에서 뿐 아니라 가수가 녹음을 하는 중에 반주와 함께 자신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모니터에 적용되기도 한다. 이 연구는 보컬녹음에 있어 모니터 환경에 적용된 컴프레서가 가수의 가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다. 10명의 참여 가수를 섭외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로 모니터를 통해 들리는 보컬에 1:1, 2:1, 4:1의 압축 비율의 컴프레서를 걸어 가창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모니터에 적용된 압축 비율이 높을수록 다이내믹이 큰 부분에서 더 크게 노래하고, 음색이 더 밝았지만 음정은 미세하게 부정확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블라인드를 유지한 상황에서의 사후 인터뷰 결과 가수들은 모니터에 컴프레서를 통해 압축된 소리를 듣는 것을 대체로 선호하는 것도 발견되었다. 실험에서 사용한 음악이 다이내믹의 범위가 넓은 발라드곡이었기 때문에 모든 음악 녹음에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녹음 현장의 모니터링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모니터 환경에 따른 가수의 가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연구를 통해 연구된 본 논문을 바탕으로 녹음 기술에 대한 인지과학적 접근이 추가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Dynamic Compressors in vocal recordings of modern pop music are essential equipment. Dynamic compressors are applied not only to the mix for listening to music but also to the monitor for the singer to listen to his voice along with the accompaniment while the singer is recording.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a dynamic compressor applied to a monitor environment on the vocal performance of a singer. 10 participating singers participated in the blind test to test how the vocals heard through the monitor would be affected by the 1:1, 2:1 and 4:1 compression ratio.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compression ratio applied to the monitor, the bigger the song, the brighter the tone, but the pitch becomes finer inaccuracy on the bigger dynamic part of the song. In post-interviews with blinds, it was found that singers generally preferred to hear compressed sound through a compressor on the monitor. Since the music used in the experiment was a ballad with a wide dynamic range, it could not be generalized to all kind of music recordings, but it could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monitoring of recording sites. In addition, We hope that the cognitive science approach to recording technology will be added based on this paper which has been studied through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monitor environment on the singing voi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실험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691-000512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