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창조적 광고콘텐츠 제작을 위한 생산자의 스토리 생산체계와 광고 수용자의 의미 해석과정이 기억원리 및 신념의 형성과 밀접함을 논의하는 것과 동시에 이러한 인지적 해석 코드가 대학생의 올바른 문화읽기를 위한 필수요건임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설득을 목적에 둔 광고 콘텐츠의 생산은 목표 수용자의 인지원리에 기댄 시대적 사유체계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간명한 실험 분석을 통해 생산자의 의도된 스토리의 표본이 대학생 수용자가 기억하는 정보들의 단서들과 불일치할 가능성을 확인하는 핵심 단서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핵심 단서들을 조합한 의미 분석도구를 체계화하고 대학생 학습자에게 올바른 시대의 문화읽기를 위한 도구로써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대학생 수용자는 광고콘텐츠의 일차적 언어 및 비언어 표현의 단면적 분석이 아닌 자신의 주관적 경험과 신념에 바탕을 둔 새로운 인지적 기호 문화읽기라는 적극적 의사소통의 한 일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광고콘텐츠 스토리 생산자가 이러한 과정을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가진다면 수용자의 설득에 도움이 되는 성과를 이룰 것이다.

The This study aimed at clarifying that the cognitive interpretation code is essential for college students to read the correct culture while discussing the producer’s story production system for creative advertising content and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meaning of advertisers and the formation of principles and beliefs. The production of advertising content aimed at persuasion should first identify anachronistic reason system based on the target audience’s perception principle. A concise analysis of the experiment found key clues that confirmed that a sample of the producer’s intended story would be inconsistent with the clues of information that a college student could remember. I have tried to organize a semantic analysis tool that combines these key clues and as a tool for reading culture of the right time for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university student inmates were able to identify one side of positive communication: reading a new cognitive symbol culture based on their subjective experience and beliefs, rather than analyzing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primary language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their advertising contents. In the future, if an advertising content story producer works to identify such a process in advance, it will help persuade inmat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인간과학과 Alexander에 기댄 미디어 스토리의 인지기호학적 메시지 전달 과정
Ⅲ. 광고콘텐츠 스토리에 담긴 샹산자의 의도적인 지시체와 수용자의 비판적 광고 문화읽기
Ⅳ. 광고콘텐츠 스토리의 인지적 문화읽기와 수용자의 창조적 표현
Ⅴ.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1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691-000512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