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놀이에 대한 은유 분석을 통해 그들이 좋은 놀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놀이 이론 교수-학습 구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80명을 대상으로 좋은 놀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좋은 놀이는 ‘좋은 놀이의 양상’, ‘좋은 놀이의 기능’, ‘좋은 놀이의 환경’ 등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좋은 놀이의 양상’은 ‘긍정적 정서가 수반된 놀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펼쳐나 가는 놀이’, ‘관심 및 흥미가 반영된 놀이’, ‘상상력과 창의력이 발휘되는 놀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놀이’ , ‘유아 주도적인 놀이’, ‘지속되는 놀이’, ‘확장되는 놀이’로 범주화 되었다. ‘좋은 놀이의 기능’은 ‘발달의 촉진’, ‘배움’, ‘스트레스 해소’로 구분 되었다. ‘좋은 놀이의 환경’은 ‘교사의 지원이 있는 놀이’, ‘교사의 관찰이 있는 놀이’, ‘안전에 대한 고려가 있는 놀이’, ‘놀이 환경이 갖추어진 놀이’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좋은 놀이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 시 놀이 이해 및 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eacher education by examining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good play and what meaning they give through metaphor analysis of the ‘good pla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8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sked to metaphorically express good play and explain the reason.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pects of good play,’ ‘functions of good play’ and ‘environment for good play.’ The ‘aspects of good play’ was categorized into ‘play with positive emotions,’ ‘play that is freely selected and performed,’ ‘play that reflects interest and preference,’ ‘play which is revealed imagination and creativity,’ ‘play that is transformed in various ways,’ ‘child-led play,’ ‘sustained play’ and ‘expanded play.’ The ‘functions of good play’ was categorized into ‘relieving stress,’ ‘promoting development’ and ‘learning.’ The ‘environment for good play’ was categorized into ‘safe play,’ ‘a well-stocked playing environment,’ ‘play with teacher observation’ and ‘play with teacher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support pla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good play.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