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와 SNS 중독경향성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부모양육태도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SNS 중독경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남ㆍ여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자해기능 평가지, 부모양육태도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SNS 중독경향성, 비자살적 자해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하위 요소 중 과잉 기대와 방임은 비자살적 자해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SNS 중독경향성의 하위요소 중 정서 회피가 비자살적 자해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가 자녀에 대해 과잉기대를 하거나, 지나치게 방임을 할수록 정서회피를 위해 SNS에 더 많이 빠져들게 되고, 이는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더욱 빈번히 시도하게 되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social media addiction on non-suicidal self-harm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media addi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non-suicidal self-harm. To this end, it collected data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scale, and the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scale for 329 grade 5 and 6 male and femal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in South Jeolla Province, and analyzed the data. First, parents’ negative child-rearing attitude,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and non-suicidal self-har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of the sub-components of parents’ negative child-rearing attitude, excessive expectation and neglec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non-suicidal self-harm; and of the sub-components of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emotional avoidanc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non-suicidal self-harm. Third, as parents’ expectation and neglect were more excessive, their children became more addicted to social media for emotional avoidance, which became the mediating effect of more frequently attempting to inflict non-suicidal self-harm.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4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692-000687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