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초기 르네상스 회화에 나타난 이차프레임의 의미작용 연구 - 마사초의 <성삼위일체>와 프라 안젤리코의 <수태고지>를 중심으로

A Functions and Meanings of Secondary Frames in the Paintings of the Renaissance - The Holy Trinity by Masaccio and The Annunciation by Fra Angelico

한국예술연구
약어 : KJAS
2020 no.28, pp.71 - 92
DOI : 10.20976/kjas.2020..28.004
발행기관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연구분야 : 예술일반
Copyright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11 회 열람

본 논문은 초기 르네상스 회화의 두 작품을 선택해 회화 영역에서 ‘이차프레임’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과 의미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마사초의 <성삼위일체>(1427-1428)와 프라 안젤리코의 <수태고지>(1440-1445)이다. 두 작품 모두에서 이차프레임은 깊이감과 입체감을 만들어내는 작업 뿐 아니라 복합적이고 함축적인 의미 공간을 만들어내는 작업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또한 특정 이미지를 가두는 단순한 틀의 기능을 넘어, 그림의 내부와 외부, 회화와 실재, 가시적 세계와 비가시적 세계를 분리하면서 동시에 이어주는 중개 기능도 수행한다. 나아가, 두 작품은 이차프레임을 이용해 르네상스의 새로운 형식과 기법들 안에 잔존하는 중세의 정신을 각자 고유한 방식으로 드러낸다. <성삼위일체>에서는 이차프레임 안의 인물들 크기를 비정상적으로 확대하면서 신의 절대적 위엄과 삼위일체 위계를 강조하고, <수태고지>에서는 다양한 이차프레임들을 통해 그림을 ‘공백’의 지배 상태로 만들면서 형상화할 수 없는 비가시적 존재의 숭고함을 강조한다.

This work aims to examine various functions and meanings of secondary frames in Renaissance paintings, and in particular, two major works: Masaccio’s The Holy Trinity(1427-1428) and Fra Angelico’s The Annunciation(1440-1445). In these two works, different types of secondary frames are used to create depth and volume in the painting, and also to form implicit and significant spaces. Furthermore, the secondary frames assume the role of the intermediary between different domains in the frame, and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image. In The Holy Trinity and The Annunciation, the techniques and methodologies characteristic of the Renaissance are utilized in the secondary frames reflect the medieval spirit of the age, in their own respective way. The former work emphasizes the absolute majesty of God by abnormally increasing the figures in the second frame, while the latter seeks to represent the ‘in-representable’, namely the god, by creating an absolute vacuum of emptiness through the second frames.

이차프레임, 마사초, 프라 안젤리코, <성삼위일체>, <수태고지>
Second frame, Masaccio, Fra Angelico, Holy Trinity, The Annunciation

  • 1. [학술지] 김호영 / 2017 / 불확정성의 기호로서의 프레임 / 기호학 연구 / 53 : 31 ~ kci
  • 2. [학술지] 박성국Park, Sung-Kook / 2005 /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의 도상적 의미 / 미술사학보 (24) : 85 ~ 24 kci
  • 3. [단행본] 백상현 / 2016 / 라깡의 루브르 : 정신병동으로서의 박물관 / 위고
  • 4. [학술지] 송혜영 / 1999 / 마사초의 성삼위일체 / 미술사논단 (9)
  • 5. [학술지] 윤수현 / 2017 / 프라 안젤리코의 ‘성스러운 대화’: 코지모 데 메디치의 사적인 기도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46) : 125 ~ 46 kci
  • 6. [학술지] 윤익영 / 2001 / 프라 안젤리코 <수태고지> 조형분석- 성 마르코(S. Marco) 수도원 벽화를 중심으로 / 현대미술학 논문집 / 5 : 231 ~ kci
  • 7. [학위논문] 鄭光信 / 1990 / 聖像畵(ICON)에 관한 연구
  • 8. [학술지] 정은진 / 2003 / 성스러운 대화Sacra Conversazione 도상 연구-보이지 않는 천국을 보이는 천국으로 / 미술사학보 (20)
  • 9. [단행본] Bailey, W. H / 2006 / 그림보다 액자가 좋다 / 아트북스
  • 10. [단행본] Francastel, Pierre / 1998 / 미술과 사회 / 민음사
  • 11. [단행본] Gombrich, Ernst / 2012 / 서양미술사 / 예경
  • 12. [단행본] Labno, Jeannie / 2014 / 르네상스 미술 / 시공사
  • 13. [단행본] 최병진 / 2011 / 르네상스 미술 / 마로니에북스
  • 14. [단행본] Aumont, Jacques / 1990 / Image / Nathan
  • 15. [단행본] Aumont, Jacques / 1989 / L'oeil interminable / Séguier
  • 16. [단행본] Bonitzer, Pascal / 1985 / Décadrages : peinture et cinéma / Ed. Cahiers du cinéma
  • 17. [단행본] Charbonnier, Louise / 2007 / Généalogie d'un dispositif / L'Harmattan
  • 18. [단행본] Derrida, Jacques / 1978 / La vérité en peinture / Flammarion
  • 19. [단행본] Derrida, Jacques / 1972 / Positions / Les éditions de Minuit
  • 20. [단행본] Didi-Huberman, Georges / 1990 / Dissemblance et Figuration / Flammarion
  • 21. [학술지] Didi-Huberman, Georges / 1986 / La dissemblance des figures selon Fra Angelico / Mélanges de l'Ecole française de Rome. Moyen-Age, Temps modernes / 98 (2) : 2879
  • 22. [단행본] Hood, William / 1993 / Fra Angelico at San Marco / Yale University Press
  • 23. [단행본] Joly, Martine / 1994 / L'image et les signes. Approche sémiologique de l'image fixe / Nathan
  • 24. [단행본] Simmel, Georg / 2003 / Le Cadre et autres essais / Le Promene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