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우울 증상 사이의 종단적 관계

A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약어 : -
2019 vol.62, no.4, pp.103 - 121
DOI : 10.20971/kcpmd.2019.62.4.103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12 회 열람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우울 증상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9차에서 12차년도 사이에 수집된 성별, 사회적 지지, 우울 증상 변인들이다. 이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으로 사회적 지지 지각과 우울 증상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의 선행조건인 측정동일성의 충족은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검증되었다. 적합도 지수는 이 연구 모델이 자료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들은 선행하는 사회적 지지 지각과 성별이 이후의 우울 증상의 자기회귀 효과를 넘어, 이후의 우울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들은 선행하는 우울 증상들 중에서 가까운 시점의 우울 증상만이 사회적 지지 지각의 자기회귀 효과를 넘어, 이후의 사회적 지지 지각을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9차, 10차의 우울 증상은 이후의 사회적 지지 지각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고, 11차의 우울 증상은 이후의 사회적 지지 지각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론: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지각을 향상시키고, 우울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Data of gende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came from 9th year to 12th wave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KWPS).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he autoregressive effects on both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CLM). Results: Assumptions of metric invariance for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xamin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well.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ceding perceived social support can predict significantly the subsequent depressive symptoms, over and above the autoregressive effects of the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al preceding 9th, 10th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did not predict the subsequen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at the proximal preceding 11th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predict the subsequent perceived social support. Conclusion: The researcher discussed various treatment alternatives to increas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o decrease depressive symptoms for a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사회적 지지 지각, 우울 증상, 지체장애인, 자기회기교차지연 모형, 한국복지패널
perceived social support, depressive symptoms, physical disabilities,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Korean Welfare Panel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