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from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s

한국사회복지학
약어 : -
2011 vol.63, no.2, pp.261 - 289
DOI : 10.20970/kasw.2011.63.2.011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사회복지학회
126 회 열람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rough change of social capital by understanding how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n the elderly employment policy of Korea has effected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The method of research was to design the research i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design from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for the 500 elderly who participated and 250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rough distributing structured questionnaire by classifying into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during 7 months from March 1, 2010 to September 30, 2010 to those above 65 living in Changwon. The social capital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among the measurement index of the study has been set as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field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etic background. When the fact that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nd the timing (before/after) is looked at in terms of change of social capital after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elderly and the pre-score, there are differences per tim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us,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ocial capital all increased in the elderly with difficulties in their living status.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brings forth increase of social capital for the elderly with difficulties in their living status. Among the social capitals,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showed that the trust increased the most. Consequ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rehensive social capital, the programs must be carried out focused on the vulnerable class in parallel to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for the general elderly of other classes.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사회적 자본 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을 사회적 자본 변화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유형별로 나누어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을 변화유형별로 비교해 보았다. 이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삶을 변화시키는데 직‧간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하였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증가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사회적 자본 중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은 신뢰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과 생계비를 벌기 위해 참여한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이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변화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일자리유형에서 사회참여는 상승하였고, 생계를 위해서 참여한 노인층이나 생활상의 어려움이 있는 노인층에서 특히 사회참여가 증가하였다. 짧은 참여기간 동안의 조사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노인의 노동참여를 통한 사회참여는 보호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elderly employment programs participation, trust,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여부,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 사회적 자본 변화

  • 1. [학술지] 강신옥 / 2010 /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비교연구-충북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49) : 287 ~ 49 kci
  • 2. [학술지] 권구영 / 2007 /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한국노년학 / 27 (3) : 527 ~ 3 kci
  • 3. [단행본] 권중돈 / 2010 / 노인복지론(4판) / 학지사
  • 4. [학술지] 권중돈 / 2010 /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노인복지연구 (49) : 81 ~ 49 kci
  • 5. [학위논문] 김경희 / 2007 /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6. [학술지] 김동배 / 2007 /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연구- 일반, 비수급빈곤, 수급빈곤 여성노인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38) : 339 ~ 38 kci
  • 7. [학위논문] 김선희 / 1989 / 노인의 신체적 노화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8. [학술지] 변재관 / 2005 / 고령사회에 대비한 국가전략 / 정책&지식 (187)
  • 9. [학술지] 서양열 / 2004 /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 만족에 관한 연구 : 전라도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24) : 31 ~ 24 kci
  • 10. [학위논문] 성석우 / 2007 / 노인일자리 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11. [단행본] 안성호 / 2004 / 지방정체성과 사회자본(Ⅰ): 대전, 충청지역 연구 / 다운샘
  • 12. [학위논문] 안효철 / 2005 /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13. [학위논문] 오혜연 / 2009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 14. [학술지] 윤순덕 / 2004 /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 한국노년학 / 24 (2) : 57 ~ 2 kci
  • 15. [학술지] 임우석 / 2008 / 도시지역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도시행정학보 / 21 (2) : 371 ~ 2 kci
  • 16. [학술지] 전혜정 / 2004 / 한국 노인의 비공식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 노인복지연구 (26) : 337 ~ 26 kci
  • 17. [학위논문] 최인자 / 2006 / 노인일자리 사업과 참여만족에 관한 연구: 전주시 노인일자리 참여자를 중심으로
  • 18. [학위논문] 최은희 / 2007 /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19. [기타] 한국개발연구원(KDI) / 2006 / 노인일자리사업 심층평가
  • 20. [학술지] Abu-Rayya, H. M / 2006 / Depression and social involvement among elders / Internet Journal of Health / 5 (1) : 9 ~ 1
  • 21. [단행본] Bourdieu / 1986 / The Forms of Capital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 Greemwood Press
  • 22. [단행본] Coleman,J.S. / 1990 /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 Harvard University Press
  • 23. [학술지] Coleman,J.S / 1988 /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Supplement) / 94 : 95 ~
  • 24. [단행본] Fukuyama,F. / 1995 /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 Free Press
  • 25. [단행본] Gittell / 1998 / Community organizing: building social capital as a development strategy / Sage Publication
  • 26. [보고서] Glaeser, E / 2002 / The economic approach to social capital
  • 27. [단행본] Putnam / 1993 /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in American Prospect : 13
  • 28. [학술지] Siegrist, J / 2009 / Participation in socially productiv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early old age: findings from SHARE /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 19 (4) : 317 ~ 4
  • 29. [단행본] Stolle,D. / 2003 / Generating social capital: Civic society and institut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s / Palgrave
  • 30. [단행본] Tocqueville / 1968 / Democracy in America / Fontana
  • 31. [학술지] 樋口 美雄 / 2002 / わが国の高齢者雇用の現状と展望 - 管理․雇用政策の評価 / 金融研究  / 2 (21)
  • 32. [학위논문] 片桐 恵子 / 2006 / 年退職者の社会参加のマイクロマクロモデル構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