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회복지현장실습 수퍼비전에 대한 실습지도교수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Faculty Field Liaison on the Social Work Practicum Supervision

한국사회복지학
약어 : -
2010 vol.62, no.2, pp.235 - 255
DOI : 10.20970/kasw.2010.62.2.010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사회복지학회
172 회 열람

성공적인 실습교육은 체계적인 수퍼비전에 기반하여야 하며, 실습수퍼비전은 학교와 현장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상호 긴밀한 의사소통의 바탕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퍼바이저와 함께 현장실습의 주축이 되는 실습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 실습지도교수들은 수퍼비전의 내용에 대해 “사회복지사의 태도 및 마인드 강조형”, “전문 지식 및 실습생의 자기 이해 강조형”, “다양한 체계개입에 필요한 실천기술 강조형” 등 3 가지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교육과 실천에서의 함의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교과목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실습에서 활발한 역할을 하지 못했던 실습지도교수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학교와 현장의 연계 중요성을 논의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successful practicum should be based on the systematic supervision and the supervision will be provided by the cooperation and liason between school and field.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faculty field liasons about the contents of supervision. As a result of using the Q methodology, the percetion on supervison wa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 "focusing on attitude and mind of social worker", "focusing on knowledge and self-awareness" and "focusing on practice skills fo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were suggested.

현장실습, 수퍼비전, 실습지도교수, Q 방법론
practicum, supervision, faculty field liason, Q methodology

  • 1. [학술지] 강철희 / 2005 / 사회복지 수퍼비전의 방향 및 변인들에 관한 고찰: 연구와 실천 방향을 위한 논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7 (1) : 29 ~ 1 kci
  • 2. [학술지] 고유나 / 2004 / 정신보건직장체험 연수생 수퍼비전 욕구 / 복지행정논총 : 93 ~
  • 3. [학위논문] 권현진 / 2004 / 사회복지학부생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 4. [학술지] 김기태 / 2005 / 한국 사회복지실천교육모델 연구 / 한국사회복지교육 / 1 (1) : 19 ~ 1
  • 5. [학술지] 김순은 / 1999 / Q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7 (1) : 5 ~ 1
  • 6. [단행본] 김선희 / 2000 / 사회복지실습 / 양서원
  • 7. [학술지] 김욱 / 2002 / 사회복지 실습수퍼비전에 있어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사회과학논총 / 5 : 1 ~
  • 8. [단행본] 김융일 / 2002 / 수퍼비전론 / 학지사
  • 9. [학술지] 김태성 / 1998 / 사회복지전문직과 교육제도 / 소화
  • 10. [학술지] 김혜련 / 2008 / 알코올 기관 사회복지사의 발달수준과 수퍼비전 욕구에 관한 문헌고찰 / 한국알코올과학회지 / 9 (1) : 1 ~ 1 kci
  • 11. [보고서] 김흥규 / 1990 / Q 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 12. [학술지] 김흥규 / 2003 / Q 방법론의 정치학적 적실성과 적용가능성 / 주관성연구 / 8 : 5 ~
  • 13. [단행본] 김흥규 / 2008 /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 커뮤니케이션북스
  • 14. [학술지] 문수정 / 2000 / 상담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2 (1) : 1 ~ 1
  • 15. [학위논문] 박미정 / 1999 /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습지도과정 및 내용에 관한 연구
  • 16. [기타] 박소희 / 2002 / “정보격차 인식유형에 관한 Q방법론적 연구". 2002 정보화촉진 논문현상 공모당선작
  • 17. [학위논문] 박종엽 / 2009 / 실습생의 사회복지 현장교육 경험의 재구성
  • 18. [학술대회] 박태영 / 2004 /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대구경북지역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19. [단행본] 백용덕 / 1999 / Q 방법론의 이론과 실제 / 인하대학교 출판부
  • 20. [학술지] 송은화 / 2005 /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도와 실태, 만족도 연구 - 숙련과정에 있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7 (2) : 317 ~ 2 kci
  • 21. [학위논문] 안정선 / 2007 / 사회복지 수퍼비전 표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22. [학술대회] 양옥경 / 2004 / 산학협동체계로서의 실습교육의 현황과 과제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수퍼바이저 워크샵 자료집
  • 23. [학술지] 양옥경 / 2005 /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연구 / 한국사회복지교육 / 1 (1) : 97 ~ 1
  • 24. [단행본] 양옥경 / 2007 / 사회복지현장실습수퍼비전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25. [학술지] 양현숙 / 2004 / 아동상담자가 지각하는 수퍼비전 내용과 수퍼바이저 역할에 대한 인과분석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1 (4) : 135 ~ 4 kci
  • 26. [학위논문] 염태산 / 2005 / 사회복지기관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자발적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 27. [학술지] 윤현숙 / 1997 / 사회복지교육의 발전방향: 실천현장분석 / 사회복지연구 / 9 : 37 ~
  • 28. [학위논문] 이시연 / 2000 / 사회복지전공학부생 실습지도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29. [학술지] 이시연 / 2005 / 사회복지관 실습지도 내용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 한국사회복지교육 / 1 (1) : 129 ~ 1
  • 30. [학술대회] 이홍직 / 2004 / 한국사회복지조직내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동향고찰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31. [보고서] 일본후생성 / 2000 / 복지전문직의 교육과정 등에 관한 검토회 보고서
  • 32. [학술지] 정수경 / 2004 /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6 (3) : 327 ~ 3 kci
  • 33. [학술지] 조흥식 / 1997 / 사회복지 교육제도와 현장실무의 연계 / 사회복지연구 / 9 : 101 ~
  • 34. [학술지] 조휘일 / 2000 / 사회복지실습교육의 내용 및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 사회복지
  • 35. [단행본]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 2006 / 사회복지실습지도-이론과 실제- / 양서원
  • 36. [학술지] 최명민 / 2005 / 대학 사회복지실습교육 모델(TOP-A) 개발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정책 (22) : 33 ~ 22 kci
  • 37. [학술지] 최원희 / 2006 / 사회복지기관 실습 수퍼비전 체계개발-사회복지현장실습지침서에 준한 기관용 매뉴얼- / 사회복지실천 / 6 : 49 ~
  • 38. [기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2005 /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개정판
  • 39. [단행본]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2004 / 사회복지사의 표준 직무 매뉴얼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40. [학술대회] 황성돈 / 1999 / 21세기 전자정부구현을 위한 주요입법과제와 추진방안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41. [학술지] Abram, F. / 2000 / The non-MSW task supervisor, MSW field instructor, and the practium student: a triad for high quality field education /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 20 (1) : 171 ~ 1
  • 42. [학술지] Bennett, L. / 1998 / Social Work field instructor satisfaction with faculty field liaisons /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 34 (3) : 345 ~ 3
  • 43. [단행본] Brown, S. / 1980 /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 Yale University Press
  • 44. [학술지] Bogo, M. / 2005 / Field Instruction in Social Work :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 The Clinical Supervisor / 24 (1) : 163 ~ 1
  • 45. [단행본] Bogo, M. / 1998 / The practice of field instruction in social work: Theory and process (2nd ed.) / Columbia University Press
  • 46. [학술지] Burke, S. / 1999 / The field liason role in schools of Social Work: A break with the past / The Clinical Supervisor / 18 (1) : 203 ~ 1
  • 47. [학술지] Csiernik, R. / 2001 / The practice of field work: What Social Work students actually do in the field / Canadian Journal of Social Work / 3 (2) : 9 ~ 2
  • 48. [기타] Educational Policy and Accreditation Standards / 2002 /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Alexandria, Virginia
  • 49. [학술지] Euster, G. / 1999 / Gerentology field educ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ocial work and gerontology certificate students / Journal of Gerentological Social Work / 31 (3) : 29 ~ 3
  • 50. [단행본] Fortune, A. / 1994 / Field Education. in: The foundations of Social Work knowledge / Columbia University Press
  • 51. [학술지] Fortune, A. / 2005 / Achievement motivation and outcome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 /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 41 (1)
  • 52. [학술지] Giddings, M. / 2006 / Responding to inadequate supervision: A model Promoting Integration for post-MSW practitioners / The Clinical Supervisor / 25 (1) : 105 ~ 1
  • 53. [학술지] Homonoff, E. / 2008 / The heart of Social Work: Best practitioners rise to challenges in field instruction / The Clinical Supervisor / 27 (2) : 135 ~ 2
  • 54. [학술지] Larser, P. / 2004 / Field education: Exploring the future, expanding the vision /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 40 (1) : 3 ~ 1
  • 55. [학술지] Larsen, J. / 1980 / Competency-based and task-centered practicum instrction / Journal of education for Social Work / 16 (1) : 87 ~ 1
  • 56. [단행본] Kadushin, A. / 1985 / Supervision in Social Work, 2nd ed / Columbia University Press
  • 57. [학술지] Kilpatrick, A. / 1994 / Quality control in field education: monitoring students' performance /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 9 (1) : 107 ~ 1
  • 58. [학술지] Knight, C. / 2000 / Engaging the student in the field instruction relationship: BSW and MSW students' view /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 20 (3) : 173 ~ 3
  • 59. [단행본] Powell, D. / 1993 / Clinical supervision in alcohol and drug abuse counseling: Principles, models and methods / Jossey-Bass
  • 60. [학술지] Peleg-Oren, N. / 2007 / Field instructors' commitment to student supervision: testing the investment model / Social Work Education / 27 (7) : 684 ~ 7
  • 61. [학술지] Rhodes, R. / 1999 / Fighting for field: seven theats to an important component of field education / Journal of Baccalaureate Social Work / 5 (1) : 15 ~ 1
  • 62. [학술지] Rogers, G. / 1995 / Expedience over education: teaching methods used by field instructors / The Clinical Supervisor / 13 (2) : 41 ~ 2
  • 63. [학술지] Rosenblum, A. / 1983 /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faculty laison / Journal of Education for Social Work / 19 (1) : 67 ~ 1
  • 64. [학술지] Schwaber, K. / 1994 / Introduction: field instruction in social work settings: a framework for teaching / The Clinical Supervisor / 12 (1) : 1 ~ 1
  • 65. [단행본] Stamps, P. / 1986 / Nurses and work satisfaction: An index for measurement / Health Administration Press Perspectives
  • 66. [학술지] Unger, J. / 2003 / Supporting agency field instructors in Forgotonia: challenges faced by rural BSW programs /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 23 (1) : 105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