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49.27
13.58.49.27
close menu
KCI 등재
중소기업 구성원의 인적특성이 기업 집단지식 수준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an Characteristics of SME Members on Improvement of Collective Knowledge
손승희 ( Seyung-hee Sohn )
DOI 10.20436/OEJ.25.3.067
UCI I410-ECN-0102-2023-300-000966168

본 연구는 기업의 집단지식은 구성원 개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을 전달-전수하는 과정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다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기업구성원들의 개인과 팀 그리고 조직차원의 인적특성들이 지식을 전달하고 전수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며, 둘째는 이러한 영향관계가 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소규모의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서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에서의 차별화된 접근방법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혁신기업의 경우에는 지식전이 의지를 형성하고 지식전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에서 지식전달-수용자 개개인의 역할과 최고경영자의 지원과 리더십이 팀 차원에서 지식전이 당사자 간의 협업과 신뢰를 형성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팀 차원에서 당사자 간의 협업과 신뢰는 지식전이 의지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유용성을 인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반면 비혁신기업의 경우에는 개개인의 혁신성향과 지식유용성을 인지하는 정도가 지식전이 의지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역할은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업무와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 지식전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며, 또한 전이된 지식들이 실지로 유용하다는 증거와 자료들을 수집해서 개개인의 실제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collective knowledge of a company can be enhanced through knowledge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ze whether or not human characteristics within a company at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al level affect knowledge transfer, and based on these facts, (2) to draw various implications for companie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a differentiated approach for increasing the collective knowledge level between small and medium-sized innovation and non-innovation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innovation companie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collective knowledge, individual roles as well as the competence of the CEO are more important than collaboration and trust among team members. Collaboration and trust among team members do not directly form the will to transfer knowledge, but play an indirect role in recognizing usefulness of knowledge that arouses the will. (2)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n-innovation companie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innovative tendency and recognizing the usefulness of knowledge was very important in forming the will to transfer knowledge. Furthermore, the duty of the CEO is to make the members recognize the need for knowledge transfer, and therefore, to induce actual behavior change of individuals by collecting and presenting evidence that transferred knowledge is useful for their work.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기본 개념과 배경이론
Ⅲ. 연구설계
Ⅳ. 데이터 수집과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