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88.7
3.145.188.7
close menu
KCI 등재
전통과 혁신을 활용한 미래형 교회교육방법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uture Church Education Method Using Tradition and Innovation
함영주 ( Ham Young Ju )
ACTS 신학저널 48권 173-204(32pages)
DOI 10.19114/atj.48.5
UCI I410-ECN-0102-2022-000-000623485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활용되어 오고 있는 한국교회 교육방법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4차 산업혁명의 결과로 주어진 다양한 혁신적 교육방법의 기독교교육적 활용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교회교육은 방법적인 측면에 있어서 몇 가지 주요한 특징을 갖는데 선포 중심, 교수학습 중심, 집단 중심, 결과 중심, 신앙교육 평가의 문제 등이 그것들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한국교회 교육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나 동시에 한계점도 분명히 보여주었다. 따라서 기독교교육자는 한국교회교육에서 사용되어 왔던 전통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더불어 변화하는 교육환경과 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새로운 교육방법을 창조하여 신앙교육에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교육방법과 혁신적인 교육방법을 활용한 미래형 교회교육방법 5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한국교회교육은 선포와 토론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가상현실을 활용한 올 스페이스 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과 신앙공동체를 조화롭게 활용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을 잘 접목하여 마을공동체와 연계된 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셋째, 집단성과 개별성을 조화롭게 사용하기 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맞춤형 신앙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넷째, 교육의 결과와 과정을 고려하되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신앙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실천해야 한다. 다섯째, 신앙교육에서의 평가를 실시하고 원스톱 공유 플랫폼을 활용하여 크리스천 프로슈머 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한국의 교회교육은 이 시대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성경을 의미있게 전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신앙의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hods of Korean church education that have been used traditionally, and to explore the use of various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s given as a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Christian education. Korean church education has several majo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ethodology, such as proclamation centered, teaching-learning-centered, group-centered, outcome-centered, and issues of evaluation in faith education. These characteristics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clear limit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innovative new educational method suitable for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five future Christian educational methods using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and innovative education methods were proposed. First, Korean church education should practice all-spac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n order to effectively proclaim the gospel. Second, in order to harmoniously utilize teaching and learning, the Internet of Things should be well used to practic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village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to practice personalized faith education using big data. Fourth, while considering the outcome and process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actice faith project-based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ifth, evaluation in fai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nd Christian prosumer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using a one-stop media platform. Christian educators in Korea should teach the Bible, which is the unchanging absolute truth, to learners using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is era, and ultimately help them achieve the growth of their faith.

I. 들어가는 말
II. 한국교회 전통적 교육방식의 특징과 교육환경의 변화
III. 전통과 혁신을 융합한 교회교육방법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