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강남식 도시화가 확산되는 강남화 과정을 관계적 장소관, 정동적 도시론,네트워크적 영토성, 헤게모니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여, 강남화에 대한 대안적 설명의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기적 도시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투기 억제를위한 경제-제도적 해법에만 초점을 두다 보니 도시 중산층의 투기적 욕망이 형성되는 사회-문화-공간적 측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강남식 도시화가 어떻게 담론적으로 재현되는지, 그러한 재현들이 강남화의 과정에서 발현되는 다양한정동들과 어떻게 접합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어떻게 강남화가 헤게모니적 도시성으로자리 잡아 도시 중산층의 지배적 관념과 상식으로 자리 잡게 되는지를 시론적으로 탐색한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 본 논문은 강남화의 헤게모니는 어떤 단일 중심의 강력한 힘에 의해추동된 것이 아니라, 여러 곳의 강남식 신도시들과 다중의 공간적 스케일에서 작동하는 매우 다양한 물질적·담론적·정동적 힘들이 복잡하게 얽히고설키면서 만들어진 매우 불균등하고 울퉁불퉁한 역사-지리적 과정의 결과물임을 밝힌다.

키워드

강남화, 정동적 도시성, 도시 구성체, 헤게모니, 투기적 도시화

참고문헌(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