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스포츠 기본법 정비에 관한 연구

Study on Reorganization of Laws Involving Sports (Study on Fundamental Sports Law Through Legal Analysis of Foreign Sports Law- Focus on Germany)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약어 : JSEL
2015 vol.18, no.2, pp.11 - 48
DOI : 10.19051/kasel.2015.18.2.11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7 회 열람

우리나라의 경우 스포츠 관련 법률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포츠 관련 법률은 그 수는 많으나 법률 상호간의 종합적인 체계를 고려하지 않고 각 법률들의 필요성이나 정책에따라 개별 법률을 제정하여 독자적으로 운영 및 실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법률의 용어와 해석기준등이 중복되거나 혼재되어 있어 법률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관계가 불분명하여 체계화되지못하고 형식적인 법률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국가의 스포츠 정책과 법률제정의 필요성등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와 각 법률이 미치는 다양성 등에 대해서 재대로 법률이 역할을 수행하지못하고 있다. 더욱이 각 법률마다 소관부처별로 따로 수행됨에 따라서 새로이 입법을 해야 되어입법비용이 증가하고 입법과정을 복잡하게 하여 국민들이 불편을 겪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국민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필요에 의해 법률에 제정 및 개정되다 보니 이러한 국민들은 헌법상 기본권인 스포츠 기본권을 보장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오늘날 ‘스포츠 기본권’은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인정받고 있고 나아가 이러한 기본권을 바탕으로 스포츠에 대한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관련 법률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독일과 일본의 경우 스포츠 정책과 제도에 관한 헌법적 성격의스포츠 기본법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역시도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포츠 관련 기본법(가칭 : 스포츠 기본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problems of sport-related laws and looking into sport-related laws in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sports like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reby re-organizing current sport-related laws and developing a draft for a fundamental law of spor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ort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s for legislation of a comprehensive fundamental law of sport leading to job creation in the area of sport by means of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basic rights of sport, re-organization of sport-related laws, regulations of sport organizations, improvement of a system to support sport organizations, and normalization of school sport. Conflicts between and problems with current sport-related laws are analyzed to present a basis for drafting a fundamental law of sport and thereby to assess the ground for legislation of basic law to justify the need and appropriateness of basic law legislation. In particular, laws of Germany which interpret basic rights of sport as basic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process and bill of Japan’s recent legislation of the Fundamental Law of Japan are examined. From a review of legislation processes and provisions ‘other basic laws of Korea, a proposal for a fundamental law of sport is suggested. This article aimed at analyzing problems on the disharmony of Fundamental Law of Sport with related laws and on the organization of Fundamental Law of Sport, and presenting a way of improvement including the issues as stated above. For the sake of the aim, therefore, the author analysed first on which fundamental right of the Constitutional Law is related with Fundamental Law of Sport, and carried out research on some issues including the role of fundamental law for other sport-related laws, the policy for amateur sports and professional sports, the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cluding the Korean Amateur Athletic Association, and national support for sports. Sport-related laws of foreign countries were reviewed to provide a basis to present contents of legislation cases of fundamental law of sports in Korea and guidelines for the system. Furthermore, current sport-related laws and ordinances were analyzed to find ideas to take into account in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fundamental law of sport and thereby make the legal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legislation more perfect.

체육기본법, 국민체육진흥법, 스포츠기본권, 스포츠진흥법, 스포츠권리, 스포츠 관련법, 독일 스포츠법
Sports Promotion Act, Sports rights, Sports Basic Law, Sport-related law, laws of Germany, Physical Education, Nationa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 1. [학술지] 김미숙 / 2012 / 독일의 스포츠정책 및 현황 / 스포츠과학 (119)
  • 2. [학술지] 김상겸 / 2000 /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 / 스포츠와 법 (창간)
  • 3. [학술지] 김상겸 / 2000 / 헌법국가에서 스포츠의 보장 / 비교법연구 (창간)
  • 4. [학술지] 김상겸 / 2001 / 스포츠산업에 있어서 국가적 관여 / 스포츠와 법 / 2
  • 5. [학술지] 김상겸 / 2001 / 프로스포츠와 직업의 자유 / 스포츠와 법 / 2
  • 6. [학술지] 김상겸 / 2002 / 교육권과 학교스포츠 / 스포츠와 법 / 3
  • 7. [학술지] 김상겸 / 2003 / 스포츠기본법 제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 / 스포츠와 법 / 4
  • 8. [학술지] 김상겸 / 2004 / 스포츠분쟁해결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스포츠와 법 / 5
  • 9. [학술지] 김상겸 / 2005 / 한국헌법상의 스포츠기본권과 스포츠기본법 제정 / 스포츠와 법 / 6
  • 10. [학술지] 김상겸 / 2007 /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과 스포츠기본법의 제정 필요성 / 스포츠과학 (100)
  • 11. [학술지] 김성배 / 2011 / 다문화사회와 스포츠법체계의 구성의 필요성 연구 - EU스포츠법의 발전을 중심으로 살펴본 시사점-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4 (3) : 77 ~ 3 kci
  • 12. [학술지] 김영문 / 2001 / 프로스포츠선수의 법적 지위 - 노동법․사회보장법 측면에서 / 스포츠와 법제 / 2
  • 13. [학술지] 김용섭 / 2009 / 스포츠법제의 현황과 과제 / 인권과 정의 (390) : 102 ~ 390 kci
  • 14. [학술지] 남기연 / 2007 / 반도핑법에 관한 논의 / 중앙법학 / 9 (3) : 445 ~ 3 kci
  • 15. [학술대회] 류동균 / 1999 / 체육관계법 중 그 시설관계법의 고찰 / 한국사회체육학회 학술세미나
  • 16. [기타] 문화체육관광부 / 2014 / “스포츠 4대악 신고센터(1899-7675)” 개설(보도자료), 지속가능개혁추진, 2014년 1월 28일자 보도자료
  • 17. [학술지] 박진근 / 2006 / 계약자유의 한계로서의 프로야구계약 / 법학논총 / 23 (3) : 331 ~ 3 kci
  • 18. [학술지] 소재선 / 2013 / 독일헌법상 스포츠의 법규범화에 관한 고찰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6 (3) : 41 ~ 3 kci
  • 19. [학술지] 손석정 / 2010 / 우리나라 스포츠관계법 정비 방안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3 (4) : 83 ~ 4 kci
  • 20. [학술대회] 연기영 / 2009 / 스포츠기본법의 주요내용과 입법시안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학회 제28회학술대회
  • 21. [학술지] 윤원길 / 2011 / 지식재산기본법의 의의 및 정책방향에 관한 소고 / 지식재산연구 / 6 (2) : 231 ~ 2 kci
  • 22. [학술지] 임오경 / 2008 / <토론문> 스포츠기본법의 제정방안에 대하여 / 스포츠와 법 / 11 (4)
  • 23. [학술지] 장재옥 / 2006 / 스포츠법의 현황과 과제 / 法學論文集 / 30 (1) : 95 ~ 1 kci
  • 24. [보고서] 장재옥 / 2005 / 스포츠법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스포츠기본법 제정방향을 중심으로-
  • 25. [학술지] 전용배 / 2008 / 각국의 스포츠산업 진흥관계 법률에 대한 고찰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 13 (2) : 119 ~ 2 kci
  • 26. [학술지] 최철호 / 2009 / 국민체육진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2 (1) : 37 ~ 1 kci
  • 27. [기타] 한국법제연구원 / 2010 / 독일의 관광사업 등록기준 및 소규모 체육시설업의 시설기준 / 최신 맞춤형 외국법제정보, 2010년 제10호
  • 28. [기타] Bleckmann / 1978 / Subventionsrecht 1978
  • 29. [기타] / 1954 / BVerfGE 6, 32; D. Hass, Freie Entfaltung der Persönlichkeit, DÖV, 1954
  • 30. [기타] Clark C. Havighurst / 1988 / Health Care Law and Policy 1-2
  • 31. [학위논문] F. Holzke / 2001 / Der Begriff Sport im deutschen und europäischen Recht
  • 32. [단행본] Fritzweiler / 2007 / Praxishandbuch Sportrecht
  • 33. [기타] Frowein / 1995 / Die Verfassung der Europäischen Union aus Sicht der Mitgliedstaaten, EuR
  • 34. [단행본] Häberle / 2006 / Europäische Verfassungslehre
  • 35. [단행본] John C. Weistart / 1979 / The Law of Sports
  • 36. [학술지] Kenneth L. Shropshire / 1998 / Introduction: Sports Law? / Am. Bus / 35
  • 37. [단행본] Michael J. Cozzillio / 1997 / Sports Law
  • 38. [기타] / 1998 / Nation, Why Sports?, Aug. 10, 1998
  • 39. [단행본] Reuter / 1980 / Grenzen der Verbandsgewalt / ZHR
  • 40. [단행본] Simon Ball / 1991 / Environmental Law
  • 41. [기타] Thomas C. Kohler / 1998 / The Disintegration of Labor Law
  • 42. [기타] / 1985 / 粂野豊スポーツ 大百科辞典8
  • 43. [기타] / 1993 / 浦川道太郎スポーツと民法法律時報65卷5号
  • 44. [기타] / 1993 / 伊藤尭スポーツ基本法法律時報65卷5号
  • 45. [기타] / 1993 / 森川貞男スポーツ法学への期待法律時報65卷5号
  • 46. [기타] / 1993 / 松本忠士スポーツ権法律時報65巻5号
  • 47. [기타] / 1993 / 千葉正士スポーツ法学の現{状と課題法律時報65巻5号
  • 48. [기타] / 2011 / 奥島孝康スポーツ基本法制定の意義と課題ジュリスト1433号
  • 49. [기타] / 2011 / 石川泰成文部科学省だよりスポーツ基本計画の策定について全国高体連ジャーナル22号
  • 50. [기타] / 2011 / 広畑成志スポーツ基本法と自治体の課題議会と自治体162号
  • 51. [기타] / 2011 / 後藤雅貴スポーツ基本法の制定立法と調査320号
  • 52. [기타] / 2012 / 安部大輔子どもスポーツにおけることばの大切さ子どものしあわせ739号
  • 53. [기타] 稻本洋之助 / 1973 / フランスの政策基本法 / 法律時報(NO. 540)
  • 54. [기타] 菊井康郞 / 1973 / 基本法の法制上の位置づけ / 法律時報(NO. 540)
  • 55. [보고서] 盛岡多智男 / 2006 / 基本法立法過程の硏究
  • 56. [기타] 小野寺理 / 1999 / 法制執務コラム集 / 立法と調査(NO. 209)
  • 57. [기타] 張谷川正安 / 1973 / 憲法體系と基本法 / 法律時報(NO. 540)
  • 58. [학술대회] 小早川光郞 / 2000 / 行政政策過程と‘基本法’ / 國際化時代の行政と法- 成田賴明先生橫浜國立大學退官記念
  • 59. [기타] 內閣官房IT擔當室 / 2001 / 高度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社會形成基本法(いわゆるIT基本法)の槪要 / ジュリスト(NO. 1195)
  • 60. [기타] 大橋洋一 / 1997 / 行政法1(演習) / 法學敎室(NO. 201)
  • 61. [단행본] Fischer, H.G / 1996 / EG-Freizügigkeit und bezahlter Sport- Inhalt und Auswikungen des Bosman-Urteils des EuGH / SpuRt
  • 62. [단행본] Fritzweiler / 2007 / Praxishandbuch Sportrecht
  • 63. [단행본] Geiger, R / 1995 / EG-Vertrag, Kommentar zu dem Vertrag zur Gründung der Europäischen Gemeinschaft
  • 64. [기타] Häberle, P / 1993 / „Sport“ als Thema neuerer verfassungsstaatlicher Verfassungen, in FS für Thieme
  • 65. [단행본] Herdegen, M / 2009 / Europarecht
  • 66. [학술지] Hilf, M / 1984 / Die Freizügigkeit des Berufsfußballspielers innerhalb der Europäischen Gemeinschaft / NJW
  • 67. [학술지] Hobe, S / 1996 / Europäische Grundrechte auch für Profisportler / JuS
  • 68. [단행본] Kahlenberg, H / 1994 / Zur EG-rechtlichen Zulässigkeit von Ausländerklauseln im Sport / EWS
  • 69. [기타] Parrish, R / 2003 / Sports Law and Policy in the European Union
  • 70. [단행본] Streinz, R / 1998 / Die Auswirkungen des EG-Rechts auf dem Sport / Sp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