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92.176
52.14.192.176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요구(SNE)를 지원하기 위한 특수교사의 교수역량 및 교원연수 교육과정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and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for Special Needs Education(SNE)
조민균 ( Cho Min-gyun ) , 손승현 ( Son Seung-hyun )
DOI 10.19049/JSPED.2020.21.3.04
UCI I410-ECN-0102-2021-000-00137459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요구(Special Needs Education, SNE)를 가진 학생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특수교사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교원연수 시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향후 체계적인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특수학교(급) 교사 377명, 교육전문직 11명, 총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구성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교육요구도(우선순위)를 분석하고, 특수교육 교원연수 시 필요한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은 개별적 수업 지원, 교수태도 및 협력, 학생지도 및 의사소통, 교육환경 조성 및 전문성 신장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 따른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학생지도 및 의사소통이 1순위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개별적 수업 지원, 교수태도 및 협력, 교육환경조성 및 전문성 신장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교원연수 교육과정은 개별적 수업 지원과 장애학생 온라인 학습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운영방법은 협력학습 형태의 실습 위주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특수교육요구(SNE)를 가진 모든 학생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 특수교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특수교육 교원연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 중심의 다양한 연수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ands for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Needs Education (SNE), and to propo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ourse content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3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verified the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The requirements for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and the necessary training course contents were derived.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to support for students with SNE showed that needs for education in “student guidance and communication”,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support”, “teaching attitude and cooperation”, “creation of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priority order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re were high demands for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online learning support for disabled students” and “practice in the form of cooperative learning”.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SNE, a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various operational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the teaching capac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